공정위 '조건부 승인' 수용
한화, 육해공 통합시스템 구축

한화그룹이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위한 최종 관문을 통과했다. 사진은 서울 중구 한화그룹 사옥 전경. 사진=한화그룹 제공
한화그룹이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위한 최종 관문을 통과했다. 사진은 서울 중구 한화그룹 사옥 전경. 사진=한화그룹 제공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한화그룹이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위한 최종 관문을 통과했다. 2008년 대우조선 인수를 첫 시도한 지 15년 만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7일 한화-대우조선 기업결합 건 심사에 대해 조건부 승인을 결정했다.

한화는 보도자료를 통해 “조건부 승인에 따른 경영상의 제약이 있지만 경영실적이 악화된 대우조선의 조속한 경영정상화와 기간산업 육성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라는 대승적 차원에서 당국의 결정을 수용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한화는 공정위가 제시한 함정 부품 일부에 대한 가격·정보 차별 금지 등이 포함된 시정조치 내용을 준수하기로 했다.

새 사명은 ‘한화오션’과 ‘한화조선해양’ 등이 거론되고 있으나 이중 한화오션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초대 대표이사로는 김승연 회장의 측근인 권혁웅 한화 지원부문 총괄사장 등이 거론된다.

한화는 다음 달 중 대우조선 유상증자 참여, 주주총회를 통한 이사 선임 절차 등을 거쳐 신속히 인수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로써 대우조선은 2001년 워크아웃(회생절차) 이후 22년 만에 경영정상화의 닻을 올리게 됐다.

5월 중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한화임팩트파트너스, 한화에너지 자회사 두 곳 등 한화그룹 5개사는 2조원 규모의 대우조선 유상증자에 참여한다. 이를 통해 대우조선 지분 49.3%를 확보해 최대주주로 올라선다.

한화는 그룹의 핵심역량과 대우조선의 글로벌 수준 설계·생산 능력을 결합해 ‘글로벌 혁신기업’으로 성장시킨다는 전략이다. 또 단순한 이익창출을 넘어 일자리 창출, K-방산 수출 확대 등 국가 경쟁력 강화에도 일조할 방침이다. 

한화 관계자는 “대우조선을 인수하면서 기존 우주, 지상 방산에 더해 해양까지 아우르는 ‘육해공 통합 시스템’을 갖추게 됐다”며 “기후위기와 에너지 안보에 대한 이슈로 세계적 에너지 전환이 빨라지는 시점에서 대우조선의 조선, 해양 기술로 ‘글로벌 그린에너지 메이저’ 위치를 확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