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만 맡겼는데 전문 투자자 돼 있어"
일당, 피해자 명의계좌로 CFD거래 진행
고소에 참여하는 피해자 더 늘어날 수도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소시에테제네랄(SG) 증권발 주식 폭락사태 피해자들이 주가조작 세력을 고소했다. 3억원을 투자했다가 27억원이 넘는 빚을 지게 된 사례도 접수되는 등 파장이 커지는 모습이다.
2일 SBS 보도에 따르면 30대 직장인 A씨는 2019년 말 투자를 권유하는 친척을 믿고 어머니와 함께 3억원을 투자했다. 얼마 전 불거진 주가 폭락 사태 후, 계좌를 확인해보니 두 사람 앞으로 빚이 27억원 넘게 늘어나 있었다.
매체는 주가조작 의혹 일당이 A씨 모자의 수익금뿐 아니라, 일당이 챙기는 수수료까지 두 사람 명의 계좌로 차액결제거래(CFD)를 하면서 손해가 커졌다고 전했다.
종목에 따라 많게는 10배까지 빚을 내서 투자할 수 있는 CFD는 개인 전문 투자자만 거래가 가능하다. A씨는 “가장 어이없었던 것은 제가 전문 투자자가 돼 있는 거예요. 저는 그걸 한 적이 없는데, 이렇게 쉽게 전문 투자자가 돼 있다는 게 말이 되나”라며 답답한 마음을 토로했다.
이날 법조계에 따르면 A씨를 포함해 10여명이 넘는 피해자가 주가조작 일당에 대한 고소장을 서울남부지검에 우편으로 제출했다. 이들은 주가조작 세력을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조세, 자본시장법 위반, 범죄수익은닉규제법 위반 등 혐의로 수사해달라고 검찰에 요청했다.
이들을 대리하고 있는 법무법인 이강은 “주식 투자 목적으로 돈을 줬지만, 피해자들은 피고소인(주가조작 세력)이 피해자 계정으로 빚을 내서 원금보다 더 큰 금액을 투자한 신용거래 등에 대한 설명을 듣지 못했다”며 “사기죄가 성립한다”고 주장했다.
법무법인 이강 관계자는 “고소에 참여하는 피해자가 더 늘어날 수도 있다. 수사 경과를 보면서 피해자들과 협의해 민사소송도 제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달 24일부터 다우데이타, 서울가스, 대성홀딩스, 선광, 다올투자증권, 삼천리, 세방, 하림지주 등 8개 종목이 무더기 하한가를 기록했다. 이후 이들 종목에 주가조작 세력이 연루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서울남부지검 금융증권범죄 합동수사단은 지난28일 합동수사팀을 꾸려 이번 주가폭락 사태 관련 수사에 착수했다.
- 'SG발 폭락사태' 피해자 10여명, 주가조작 세력 검찰에 고소
- 임창정, 주가조작 의심세력 파티 참석 인정… "단순 손님일 뿐"
- 이복현 금감원장, 주가조작 세력 겨냥 "지위나 재산 막론해 엄정 조사"
- 키움증권 사장 "김익래 회장 다우데이타 지분 매각 우연일 뿐"
- 주가폭락 사태 핵심 의혹 라덕연 "이익본 세력 따로"… 다우키움 김익래 회장 겨냥?
- 임창정·서하얀 부부, '주가조작 일당 파티 참석' 주장 제기
- 'SG증권發 폭락 사태' 투자 피해자들 집단소송 예고
- 라덕연-키움 김익래, 서로 주가조작 몸통 주장… 맞고소 전쟁
- 김익래 회장·키움, 라덕연 명예훼손 고소..."악의적 왜곡했다"
- 주가조작 의혹 일당들 투자 권유 뿌리친 솔비·노홍철 "이상해서 투자 안했다"
- 김홍국 하림 회장 장녀 하림푸드 사내이사 사임… "기존 업무 집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