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중공업이 노르웨이 DNV선급으로부터 기본 인증을 획득한 FLNG부유체 독자 모델 이미지. 사진=삼성중공업 제공
삼성중공업이 노르웨이 DNV선급으로부터 기본 인증을 획득한 FLNG부유체 독자 모델 이미지. 사진=삼성중공업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삼성중공업이 현지시간으로 1일 미국 휴스턴 해양기술 박람회(OTC 2023)에서 노르웨이 DNV선급으로부터 FLNG 부유체 독자 모델(이하 'MLF-N', Multi-purpose LNG Floater-Nearshore)에 대한 기본 인증을 획득했다.

2일 삼성중공에 따르면 MLF-N은 최근 주요 액화천연가스(LNG) 생산국의 수출 증가 영향으로 육상 플랜트에 비해 납기가 빠르고 경제적인 FLNG 모델을 찾는 시장 상황에 맞춰 개발된 회사의 전략 제품이다.

그간 수행한 다양한 FLNG 설계·조달·시공(EPC) 실적과 기술력을 함축해 선형 및 사양을 표준화한 것이 특징이다. 

또 LNG 화물창 형상과 이를 둘러싼 선체를 규격화함으로써 화물창 용량을 기본 18만㎥에서 최대 24만5000㎥까지 발주처가 필요한 만큼 손쉽게 늘릴 수 있다는 장점을 지녔다.

동시에 천연가스 액화 모듈 등 약 5만톤 중량의 상부 플랜트 설비를 밑에서 떠받칠 수 있도록 안정적인 구조로 설계됐으며, 선체에 탑재되는 주요 장비의 최적 사양을 결정, 이를 표준화해 엔지니어링 기간까지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삼성중공업은 이를 바탕으로 수주한 FLNG에 MLF-N의 일부 디자인을 적용하고 있으며, 현재 진행 중인 다수 해외 가스전 개발사업 프로젝트 수주전에 참여해 MLF-N 영업 활동을 활발히 전개 중이다. 

특히 FLNG는 해상에서 천연가스를 채굴한 뒤 이를 정제하고 LNG로 액화해 저장 및 하역까지 할 수 있는 복합 해양플랜트로 ‘바다 위의 LNG 공장’으로 불린다. 실제 회사는 전 세계 신조 FLNG 5척 중 4척을 수주한 바 있다.

삼성중공업은 해당 분야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보유했다는 평가다. 이에 회사는 다수 FLNG 프로젝트의 기본설계(FEED)에 참여하는 등 앞으로의 추가 수주 가능성도 극대화한다는 구상이다. 
 
장해기 삼성중공업 기술개발본부장(부사장)은 “MLF-N은 LNG 개발을 쉽고(Easy), 간단하고(Simple), 빠르게(Fast) 수행하길 원하는 발주사들의 니즈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최적의 솔루션”이라며 “고객지향적 기술 혁신을 통해 FLNG 리더십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비달 도로넨(Vidar Dolonen) DNV 한국·일본대표도 이와 관련 “삼성중공업의 차세대 FLNG모델(MLF-N)이 전 세계 LNG 수요 증가에 부합하는 혁신적인 제품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