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2월 서울 연립·다세대 3.3㎡당 전셋값, 2년 전 대비 4만원↓
수도권 연립·다세대 전세 거래 회복… "금융부담 줄어든 영향"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각종 전세사기와 가격혼조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역전세난 우려가 점차 커지는 분위기다.
15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바탕으로 수도권 연립·다세대 거래를 분석한 결과 전용면적 3.3㎡당 평균 전셋값을 2년 전 동일 시점 평균 전셋값과 비교했을 때 가격 차가 점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1월 서울 연립·다세대의 전용면적 3.3㎡당 전셋값은 563만원으로 2년 전(452만원)보다 111만원 높았으나 올 2월에는 평균 550만원으로 2년 전보다 4만원 낮은 가격에 거래됐다. 인천은 2021년 1월 평균 전셋값이 2년 전보다 59만원 높았으나 지난해 11월에는 224만원으로 2년 전보다 하락했다.
직방은 최근 수도권 연립·다세대의 전셋값 하락으로 임대차 계약 2년차 갱신이 도래한 주택은 역전세 가능성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금융비용 증가와 전세사기 등으로 지난해 말부터 주춤하던 수도권 연립·다세대 전세 거래는 회복세를 보였다.
수도권 연립·다세대 전월세 거래 비중을 월별로 보면 2021년 전세 거래는 전체의 65∼70% 수준이었으나 점차 줄어 지난해 12월 50%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다시 전세 비중이 늘어 지난달 62.7%까지 커졌다.
서울 전세 비중은 지난해 12월 49.7%로 월세(50.3%)에 뒤처지기도 했으나 올 1월부터 늘어나는 추세다. 인천도 지난해 12월 전세 비중이 53.1%에 불과했으나 지난달 68.0%로 커졌고, 경기도 올 1월 49.0%에서 지난달 57.1%까지 전세 비중이 늘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전세가격 하락과 상대적으로 낮아진 금리 등으로 인해 전세보증금 마련을 위한 금융부담이 줄어들어든 영향으로 보인다”며 “다만 전세보증금 반환 등 계약종료 및 재계약 시점에는 임대인과 임차인간 갈등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어 “임차인은 소모성 비용이 있는 월세 거래보다는 전세 거래를 더 선호하기도 하지만 전세사기 및 역전세로 인해 전세거래의 우려가 큰 상황”이라며 “올해 수도권 아파트 입주물량도 적지 않아 연립다세대 전세가격 약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 2분기 전기가스요금 드디어 확정… 4인 가구 월평균 7400원 오른다
- '위믹스 코인' 논란으로 물러난 김남국… '꼼수 탈당' 비난 봇물
- 오늘 당정협의회서 전기가스요금 인상… ㎾h당 8원 유력
- 강원 동해시 북동쪽 해역서 진도 4.5 지진… "올해 가장 큰 규모"
- [차이나 쇼크①] 가열하는 미중 갈등…고래 싸움에 휘말린 한국경제
- 은행에 몰린 '뭉칫돈'… 10억원 초과 고액예금 800조원 육박
- 발신번호 010으로 전환… 보이스피싱 중계기 조립 유통 일당 검거
- 강남구 "대치·삼성·청담동 토지거래허가구역 풀어달라"
- 원전 생태계 정상화 신호탄?… 신한울 3·4호 주기기 제작 착수
- [날씨] '역대급 더위' 시작되나… 서울 낮 최고 30도·대구 33도
- 전세보증금 사고금액 빠른 증가세… 4개월 만에 1조원 돌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