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계기 375대 제작·관리해 유포, 국내 번호로 변환해 조작
피해자 182명·금액 46억원 달해… "중계기 발견 신고 부탁"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에 이용되는 전화번호 변환 중계기 수백대를 조립해 유통한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다.
15일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에 따르면 관세법 및 전기통신법 위반 혐의로 중계기 공급 국내 총책인 30대 A씨를 비롯해 일당 14명이 붙잡혀 전원 구속됐다. A씨는 올 1월 중국 현지에서 항공우편으로 중계기 부품을 건네받은 뒤 조립해 국내에 유통했다.
A씨가 중계기를 제작하고 관리한 수만 375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보이스피싱 범죄를 위해 해외 발신 번호 070을 010으로 시작하는 국내 번호로 바꿔주는 중계기를 유포한 혐의를 받는다.
A씨는 중국 현지에 머무르는 40대 총책 B씨(중국 교포)와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위챗으로 연락을 주고받으며 대당 15만원을 받고 중계기를 조립했다. 이들은 수도권 13곳과 충청권 6곳, 전라권 15곳, 경상권 10곳 등 44곳으로 중계기를 분산했다.
이들이 설치한 중계기를 통해 발생한 전화금융사기 피해 금액은 경찰에 확인된 것만 46억원 규모에 달한다. 피해자는 182명 정도로 추정된다. 경찰 추적을 피하기 위해 중계기를 고속도로 휴게소 내 차량 트렁크나 아파트 지하 등 인적이 드문 곳을 찾아 설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남부청은 전화금융사기 전담팀을 구성해 전국의 불법 중계소를 단속하던 중 A씨 조직에 대한 정보를 입수했고 추적 끝에 올 3월 중순 경기 파주시의 한 주택에서 A씨를 검거했다. 이어 추가 수사를 통해 관리책 등 13명을 차례로 붙잡았다.
A씨의 조직은 모두 30명으로 구성됐는데 전담팀이 체포한 14명 외에 나머지 16명은 전국 각 경찰관서에서 차례로 체포돼 모두 구속됐다. 경찰은 중국에 있는 총책 B씨의 신원을 특정해 인터폴 적색수배를 요청한 상태다.
경찰 관계자는 “서민의 삶을 위협하는 전화금융사기에 대해선 엄정 대응하고 해외 총책 등 상선 추적에 계속 전념할 것”이라며 “최근 건물 옥상 분전함 또는 아파트 계단 등에 중계기를 위장 설치한 불법 중계소가 무인 운영되는 사례가 늘고 있으니 시민들의 적극적인 신고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 역전세난 현실화되나… 수도권 연립·다세대 전셋값 '하락세'
- 2분기 전기가스요금 드디어 확정… 4인 가구 월평균 7400원 오른다
- '위믹스 코인' 논란으로 물러난 김남국… '꼼수 탈당' 비난 봇물
- 오늘 당정협의회서 전기가스요금 인상… ㎾h당 8원 유력
- [차이나 쇼크①] 가열하는 미중 갈등…고래 싸움에 휘말린 한국경제
- 강남구 "대치·삼성·청담동 토지거래허가구역 풀어달라"
- 원전 생태계 정상화 신호탄?… 신한울 3·4호 주기기 제작 착수
- [날씨] '역대급 더위' 시작되나… 서울 낮 최고 30도·대구 33도
- 카카오페이 어제 낮 2시간 접속 장애… "데이터베이스 부하 때문"
- 대우건설, 찾아가는 야외 음악회 '푸르지오 가든' 개최
- 대한해운, 1분기 영업이익 599억원… 전년比 18.6%↓
- [메타센서] 원희룡 "수명 다한 전세제도 근본적 검토"… 어떻게 바뀌나?
- 결혼자금 증여공제 부부합산 최대 3억… '물가연동제' 폐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