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사장 공모 마감, 김 전 의원 유력 후보로 떠올라
광주 출신·정부와 인연 등 부각, 대통령실 지지 받아
지역도 환영, 62년 만에 정치권 인사 임명될지 관심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한국전력공사에 정치인 출신 사장이 선임될 것이란 시각이 지배적이다. 실제 사장 모집 공고에 지원한 후보군 중 광주 출신의 김동철 전 국회의원이 가장 유력해 보인다는 게 정치권 중론이다.
5일 정부와 정치권, 전력업계 등에 따르면 한전은 지난달 22일부터 30일까지 사장 공모를 위한 후보자 접수를 진행했고, 그 결과 호남을 기반으로 정치 활동을 펼쳤던 김동철 전 의원을 비롯한 복수 후보가 지원했다.
다만 앞서 한전 안팎에서 차기 사장 후보로 거론되던 인물들은 모두 지원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종석 대통령직속 규제개혁위원회 민간위원장을 비롯한 우태희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 김준동 전 대한상의 상근부회장, 박일준 전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 등 하마평에 오르내린 인사들이 대표적이다.
이에 차기 사장 자리를 두고선 김동철 전 의원 쪽으로 무게가 쏠린다. 지난해 3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국민통합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합류하며 현 정부와 인연을 맺은 그는 대통령실에 강한 신임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한전 본사가 위치한 호남 기반의 정치인이라는 점에서 지역에서도 환영하는 분위기다. 최근 에너지공기업 수장에 정치권 인사들이 잇달아 선임되는 등 정치권에서도 김 전 의원이 한전 사장 자리를 맡을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실제 지난해 말 한국가스공사 사장에는 최연혜 전 의원이, 한국지역난방공사 사장에는 정용기 전 의원이 각각 임명됐다.
다만 한전 사장은 전문성이 필요한 자리로 과거부터 통상 산업부 등 관료 출신이 맡아왔기 때문에 정치인이 수장 자리를 맡을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이정복 한전 경영관리 부사장이 직무를 대행 중인 한전으로서는 차기 사장의 임명은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지속되는 적자 문제를 포함해 전기요금 정상화 등 풀어가야 할 과제가 산적하기 때문이다.
업계 안팎에서도 이를 유심히 지켜보고 있다. 일각에선 한전의 적자 문제가 전력업계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차기 사장엔 에너지사업 경험과 전문성을 지닌 인물의 선임을 주장한다.
김 전 의원이 유력 후보로 떠오른 가운데 차기 사장 윤곽은 이르면 8월쯤 드러날 전망이다. 한전 내부에 구성된 임원추천위원회는 지원한 후보 등에 대해 면접을 거쳐 인원을 추려 기재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공운위)에 추천할 예정이다.
공운위 최종 심의와 의결을 통해 최종후보자가 선정되며, 산업부 장관의 제청과 대통령 임명 절차까지 모두 마친 뒤 한전 차기 사장이 공식 취임하게 된다. 한전이 정치권 인사를 수장으로 맞을 경우 이는 62년 만이자, 첫 사례로 차기 사장 선임 과정에 귀추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