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 올 1~5월 시장점유율 27.4%로 왕좌 수성
같은 기간 CATL 등 중국 업체들 세 자릿수 성장률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전 세계 배터리시장에서 중국 기업들이 무서운 성장세를 보였다.
실제 올해 1~5월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전기차(EV, PHEV, HEV) 배터리시장에서 LG에너지솔루션은 1위를 차지했으나, 2위 CATL이 점유율 기준 턱밑까지 쫓아오는 등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7일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 1~5월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에서 판매된 전기차(EV·PHEV·HEV) 배터리 총 사용량은 약 11.6기가와트시(GWh)로 전년 동기 대비 52.5% 증가했다. 이 기간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사용량은 30.54GWh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52.7%의 성장률을 보였고, 시장점유율은 27.4%로 1위를 유지했다. 이 업체의 배터리를 탑재한 테슬라 모델 판매 호조에 따른 결과다.
SK온과 삼성SDI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5%, 29.6% 성장했다. 시장점유율은 SK온이 11.1%, 삼성SDI가 8.8%로 각각 4·5위에 올랐다. 국내 3사의 성장세는 여전했으나, 점유율은 소폭 하락한 47.3%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5.3%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반면 중국은 내수뿐 아니라 글로벌시장에서의 영향력을 강화했다. 특히 점유율 기준 2위를 차지한 CATL(27.3%)은 1위를 유지한 LG에너지솔루션과의 격차를 0.1포인트까지 좁혔다.
실제 CATL의 올 5월까지 배터리 사용량은 30.51GWh로 전년 동기 대비 104.5% 증가했다. BYD 역시 전년 동기보다 배터리 사용량이 무려 540.5% 늘었고, 시장점유율은 1.6%로 SK온과 삼성SDI를 이은 6위를 기록했다.
중국의 두 기업 모두 세 자릿수 성장률을 보이며 국내 3사를 위협하고 있다. 일본 파나소닉은 3위로 배터리 사용량의 경우 18.9GWh로 집계됐다.
SNE리서치는 이와 관련 중국 업체들이 공급이 과잉된 내수 시장을 넘어 해외 진출에 본격적으로 뛰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SNE리서치는 “완성차업체들의 가격 차별화 전략에 맞춰 중국 업체들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중심으로 해외시장을 공략할 것”이라며 “LFP 배터리 사용량이 낮은 유럽을 중심으로 중국 업체들의 점유율 변화가 주목된다”고 밝혔다.
- 캐나다, LG엔솔·스텔란티스 배터리 합작사에 ‘15조원’ 보조금
- LG엔솔, 칠레 SQM와 세계 최대 규모 리튬 구매계약 체결
- LG엔솔·스텔란티스, 캐나다 정부와 보조금 조건 최종 합의
- [CEO투데이] 초격차 속도내는 '승부사' 최윤호 삼성SDI 사장
- 한국 배터리업체, '리튬 보고' 남미서 직접 채굴권 확보 가능할까?
- '배민 창업주' 김봉진… 13년 만에 회사 떠나 새도운 도전
- LG에너지솔루션, 2023년 2분기 '호실적' 달성
- 현대엔지니어링, 전기차 충전 시설 유지·보수 시장 진출
- 전고체 배터리 '한판승부', 뜨거워진 '한·일 경쟁'
- LG에너지솔루션, 제1회 산학협력 컨퍼런스 개최
- "땡큐, SK온"… 미국에 'SK도로' 생겼다
- SK온, 배터리 안전성평가센터 개소… 실험·연구를 원스톱으로
- LG엔솔, 중국 제외 글로벌 배터리시장 '강자'
- 중 CATL 15분 충전 최대 700km 주행 배터리 개발에… K-배터리 '비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