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액 단일 분기 역대 최대 규모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현대모비스가 2분기 매출 15조6849억원, 영업이익 6638억원을 달성했다고 2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각각 27.4%, 64.6% 증가한 수치다. 매출액 기준으로는 단일 분기 역대 최대 규모다.
현대모비스는 완성차 생산량 확대와 전동화 물량 증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비중 확대에 따른 핵심부품 공급 증가로 이 같은 실적을 거뒀다고 설명했다. 영업이익은 완성차 물량 증가와 사후서비스(A/S) 사업의 글로벌 수요 강세, 물류 운임 하락 등이 견인했다.
부문별로는 모듈과 핵심부품의 매출은 지난해 2분기 대비 31.6% 증가한 12조9878억원을 달성했다. 이 가운데 전동화 부문은 지속적인 성장세에 힘 입어 3조7436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A/S부문의 매출 역시 북미와 인도·기타지역의 수요 확대에 따라 전년 대비 10.6% 증가한 2조6971억원을 기록했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비용 상승분의 판매가격 반영 등 손익개선 활동과 함께 연구개발 투자, 시설 확충 등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모비스의 국내외 연구개발 인력은 지난 2분기에 처음으로 7000명을 돌파했다. 2020년 5000명을 넘어선 데 이어 전동화와 반도체, 자율주행과 인포테인먼트 분야를 중심으로 우수 인재 확보에 공을 들이고 있다.
글로벌 고객사가 대상인 논캡티브 수주도 순항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올해 상반기까지 현대차와 기아를 제외한 글로벌 완성차로부터 총 27억달러(약 3조5000억원) 규모의 핵심부품을 수주했다. 올해 목표 수주액인 54억달러의 51%에 해당하는 수치다. 지난 2분기에는 자율주행 센서와 인포테인먼트 신제품 등 고부가가치 부품을 신규 수주했다.
현대모비스는 글로벌 전동화 밸류체인 구축을 위한 거점 확대 계획도 공개했다. 현대모비스는 현재 국내와 해외에서 총 9개의 전동화 생산거점을 운영하고 있다. 북미(조지아·앨라바마)와 인도네시아에 신규 거점 6곳도 구축하고 있다. 또한 배터리시스템과 전기차 구동부품인 PE모듈 공급 확대를 위해 유럽과 인도 등지에도 거점 구축을 검토하고 있다.
- 현대모비스 주가 상승여력 '6만5000원' 기대되는 이유
- 주춤했던 의료 관광객 다시 증가세… 생활형숙박시설 '아르떼 강남' 수요자 이목 쏠려
- 진격의 현대모비스, 아이신 추월해 톱5로… 비결은 '기술투자'
- 현대모비스, 차량용 인포디스플레이 미래 비전 선봬
- 삼성 'SW아카데미 8기' 수료식… "IT 포함 다양한 업종 진출 활성화"
- 먹태깡 오픈런에도 농심 요지부동… 생산라인 안늘린다
- 기아, 2분기 영업익 3조4030억원 52% 증가...영업이익률 글로벌 최고
- 현대모비스, 대학생 아이디어톤 대회 통해 ESG 솔루션 발굴
- 기아, 초저가 전기차 레이 9월 출시… 전기차 가격전쟁 불꽃튄다
- [기자수첩] 현대차 '킹산직' 첫 여성 채용 환영하나, 비율 더 늘려야
- 현대모비스, 폭스바겐에 대단위 전동화 부품 수주
- 현대모비스, 다양한 생태계 조성 위해 MOU 체결
- 현대모비스, '전동화 기술'로 유럽시장 공략 본격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