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 도매가 10㎏ 평균 2만2080원
무·대파 등 김치 부재료값도 줄상승
본격 김장철 앞두고 가격 인상 부담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장마와 폭염 영향으로 농산물 가격이 치솟으면서 밥상물가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배추 도매가격은 일주일 만에 80% 넘게 오르면서 지난해 여름철 ‘김치 품귀’ 현상이 되풀이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8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전날 배추 상품 도매가격은 10㎏에 평균 2만2080원으로 일주일 전보다 80.4% 뛰었다. 한 달 전보다는 141.2% 높은 수준이다.
같은 기간 겉절이나 쌈에 주로 이용되는 알배기 배추 상품(8㎏) 도매가는 3만8800원으로 일주일새 39.1% 상승했다.
배추 가격 상승에 더해 김치 부재료인 무, 대파, 양파 등의 가격도 올라 김치를 담그려는 사람들의 비용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무 도매가격은 20㎏에 2만7640원으로 일주일 전과 비교해 57.6% 급등했다. 대파 도매가격은 1㎏에 3062원으로 일주일 전보다 20.3% 올랐다.
지난해 9월 초 태풍 ‘힌남노’ 여파에 김치 품귀 현상이 빚어졌던 데 이어 올해도 태풍 ‘카눈’ 영향으로 농산물 가격이 더 오르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당시 대형마트와 대상, CJ제일제당 등 식품기업 온라인몰에서 포장 김치가 품절되기도 했다.
이에 정부는 여름철 배추 작황 부진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1만2500톤을 비축하고 정부 약정수매 면적을 120헥타르(㏊)에서 150㏊로 확대하고 추가 수매 등 수급 안정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9월과 10월상순 출하물량 감소에 대비해 정부 수매를 약정하고 여름배추 재배면적 150㏊를 이미 확대했다”며 “농촌진흥청, 농협, 농가와 함께 배추 작황 관리에 만전을 다하고 태풍으로 인한 유실 피해가 없도록 배수로 정비 등을 철저히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SKT, 2분기 영업익 4634억 '전년비 0.8%↑'… 데이터·클라우드 통했다
- LGU+, 2분기 영업익 16% 늘어난 2880억원 "견조한 성장세"
- LG엔솔·중국 화유코발트,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 설립
- LG엔솔 중국 제외 글로벌 배터리 점유율 1위라지만...격차 '간당간당'
- KT, 8일부터 갤럭시 Z 폴드5∙Z 플립5 사전 개통
- LGU+, 갤럭시 Z 플립5·Z 폴드5 사전예약 고객개통 시작
- "청년고객에 통했다" SKT, 갤럭시Z 폴드5·플립5 사전개통 시작
- 유투바이옴 베베 공식 모델, 배우 소유진 발탁
- 일론 머스크 최측근 커크혼 사임… 독불장군 주변 사람이 없다
- 6월 경상수지 2개월 연속 늘었으나 '불황형 흑자' 지속
- 무슈제이, 올리브영 전국 850개 매장 입점… 남성 뷰티시장 공략 가속
- 현대아이티, KBS 추적 60분에 스마트 기능 갖춘 현대전자칠판 납품
- '리스크 한가득' 남양유업… "올해도 출구가 안 보인다"
- 유가·정제마진 급등에 정유사들 환호… 실적회복 기대감↑
- CJ제일제당, 브라질 셀렉타 지분 66% 전량 4800억에 매각
- 배추·무·고춧가루·소금값 급등에 김장김치 '비상'
- "김치 담그기 무섭네"… 배추·양념값 상승에 '한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