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 '불안한 1위' CATL이 턱밑까지 추격
국내 배터리 3사 모두 5위권 내…점유율은↓
중국은 저렴한 LFP로 글로벌 공략에 나서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올 상반기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에서 LG에너지솔루션이 1위를 달성했다. 다만 중국의 CATL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며 LG에너지솔루션과의 점유율 격차를 바짝 좁혔다.
8일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 1~6월 중국을 제외한 세계 각국에 판매된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사용량은 약 143.1GWh(기가와트시)로 전년 동기보다 56.0% 증가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점유율 28.7%를 차지하며 1위 자리에 올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5.1% 증가한 41.1GWh의 사용량이다. 다만 전년 동기(28.9%)보다는 점유율이 0.2%p 하락했다.
중국 배터리 회사인 CATL은 38.9GWh로 전년 동기 대비 107.1% 증가했다. 올 상반기 점유율은 27.2%를 기록했다. 지난해 상반기(20.5%)보다 점유율을 6.7%p 늘리며 LG에너지솔루션과의 격차를 2022년 상반기 8.4%p에서 2023년 상반기 1.5%p로 크게 줄였다.
일본의 파나소닉은 지난해 동기 대비 40.1% 증가한 22.7GWh로 3위를 차지했다. 점유율은 15.8%로 집계됐다. SK온과 삼성SDI는 각각 4위와 5위를 차지했다.
국내 배터리 3사의 올 상반기 점유율은 떨어졌다.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 등 국내 3사의 점유율은 48.5%로 전년 동기 대비 5.9%p 하락했다.
SNE리서치는 “CATL을 비롯한 몇몇 중국 업체들은 비중국 시장에서도 세 자릿수의 폭발적인 성장률을 보이며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점차 확대하고 있고 특히 CATL 점유율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LG에너지솔루션의 1위 자리를 위협하고 있다”며 “최근 테슬라·폭스바겐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채택한다고 발표하면서 가격 경쟁력을 갖춘 LFP 배터리 쪽으로 판도가 기울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중국이 주력으로 삼는 LFP 배터리는 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와 비교해 에너지 밀도가 떨어지지만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 코스피, 기관 매도로 '2600선 붕괴'… 코스닥도 900선 무너져
- LG엔솔, 중국 제외 글로벌 배터리시장 '강자'
- 7월 증시 공매도 거래액 23조...'사상 최대'
- LG에너지솔루션, 멸종위기종 '물장군' 살린다
- LG엔솔 2분기 매출 8조7735억원·영업이익 4606억원
- LG엔솔·중국 화유코발트,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 설립
- 류진 전경련 회장의 기업 풍산은 어떤 회사?
- 장마·폭염에 배추 도매가 80% '껑충'…밥상물가 대란 오나
- 테슬라, 3주 만에 주가 15% 급락… 서학개미들 발동동 왜?
- 폭스바겐이 또?… 전비 과장해 ID.4 소유자에 30만원씩 보상
- SK온, 서산 전기차배터리 공장 증설… 1조5천억원 투자
- 중 CATL 15분 충전 최대 700km 주행 배터리 개발에… K-배터리 '비상'
- LG엔솔, '1.3조원' 글로벌본드 발행… 50% 이상 투자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