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1.7% 증가한 7조2711억원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이마트는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손실이 53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123억원) 대비 적자 폭이 확대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4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7조2711억원으로 1.7% 증가했다. 당기순손실은 1032억원으로 적자 폭이 확대됐다.
고금리·고물가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으로 내수시장 전반이 침체된 가운데 SCK컴퍼니의 환율상승에 따른 원가부담 및 신세계 건설의 원가 상승으로 인한 매출 이익률 하락이 영업손실에 영향을 미쳤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이마트 별도 기준으로는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0.5% 감소한 3조9390억원, 영업손실은 258억원을 기록했다. 미래 지속 성장을 위한 대규모 리뉴얼 투자와 지난해 9월 가양점, 올 4월 성수점 영업종료 및 전기료 상승 등에 따른 에너지 비용 증가 등이 영향을 미쳤다.
노브랜드 등 전문점은 수익성 위주 사업구조 재편에 따라 매출액은 전년 보다 5.6% 늘어난 2761억원, 영업이익은 70억 증가한 108억을 기록했다.
SSG닷컴과 G마켓은 지난 1분기에 이어 수익성을 대폭 개선했다. SSG닷컴과 G마켓의 영업손실은 각각 183억원, 113억원을 기록했다. 양사의 영업손실액은 전년 동기 대비 291억원 축소됐다.
조선호텔 앤 리조트의 경우 엔데믹에 따른 투숙률 개선에 힘입어 지난해보다 71억원 개선된 8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다만 신세계 건설은 원가상승에 따른 매출이익율 하락으로 영업손실 309억원을 기록했다.
이마트는 하반기에 고객에 대한 집중으로 성장모멘텀을 더욱 강화하고 비용구조 혁신 및 투자효율 제고 등을 통한 수익성 개선으로 실적 개선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이마트 관계자는 “하반기에는 핵심경쟁력 강화를 바탕으로 한 매출 턴어라운드와 지속적인 효율화 작업을 통한 수익성 개선을 통해 뚜렷한 실적 개선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며 “하반기 첫 달인 7월뿐만 아니라 8월 영업도 호조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 [유통정보통] "미리 준비하세요~" 대형마트, 추석 선물세트 예약판매
- 에코프로 등 4종목 MSCI 신규 편입…CJ·이마트 편출
- 소비 침체에 백화점 부진… 롯데쇼핑, 2분기 영업익 30.8% 감소
- '판 커진' 유통업계 멤버십 경쟁… 고객 모시기 '사활'
- 한국프랜차이즈협, '체험창업 프로그램' 참여자 선착순 모집
- GTX-A 노선 '운정역' 품었다… 'GTX운정역 서희스타힐스(가칭)' 하반기 공급 나선다
- 부동산 흥행 키워드 '한강 생활권', 그린 프리미엄 갖춘 브랜드 주거단지 공급
- 카카오뱅크 26주적금 누적 개설 좌수 2천만 돌파
- 롯데하이마트가 2분기 호실적에도 웃을 수 없는 까닭
- 토스뱅크, 커플통장 서비스 출시..."연 2% 금리 혜택"
- 요즘 서울에서 기업들이 관심 갖는 '이것은?'
- 정부 특별사면 결정에 야권 "사법부에 대한 정면도전" 비판
- 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 공식 석상 7년만에 등장...공개활동 본격화?
- 흑자전환 선언한 G마켓… 갈 길 먼 수익성 개선
- 이마트, 3분기 영업익 22.6%↓… 본업 '선방'에도 신세계건설 '발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