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일레트릭 전기차 핵심부품 자회사인 LS이모빌리티솔루션이 최근 현대·기아차 2500억원 규모의 전기차용 EV 릴레이(Relay) 공급 계약 체결했다. 이번 수주로  LS이모빌리티솔루션의 누적수주액은 1조원을 넘어섰다. 사진=LS일렉트릭 제공
LS일레트릭 전기차 핵심부품 자회사인 LS이모빌리티솔루션이 최근 현대·기아차 2500억원 규모의 전기차용 EV 릴레이(Relay) 공급 계약 체결했다. 이번 수주로  LS이모빌리티솔루션의 누적수주액은 1조원을 넘어섰다. 사진=LS일렉트릭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LS일렉트릭(LS ELECTRIC)의 전기차 핵심부품 자회사인 LS이모빌리티솔루션(LS e-Mobility Solutions)이 현대·기아차와 대규모 계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올렸다. 

LS일렉트릭은 22일 LS이모빌리티솔루션이 최근 현대·기아차 2500억원 규모의 전기차용 EV 릴레이(Relay)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2025년 상반기부터 제품을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EV Relay는 정상적인 상황에서 배터리 전류를 인버터에 전달하고 이상전류나 화재가 발생할 경우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고전압 시스템을 보호해 주는 핵심 안전 부품으로 배터리가 사용되는 모든 이동 수단에 필수적이다. 

LS이모빌리티솔루션은 GM·르노·다임러·폭스바겐·볼보·포르쉐 등 전 세계 주요 완성차에 공급해 오는 등 기술력과 신뢰성을 인정받았고 이번 수주로 경쟁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이번 수주로 LS이모빌리티솔루션의 누적 수주액은 1조원을 넘어섰다. 올해 4월 LS일렉트릭으로부터 분사한 이후 거둔 성과로 그간 Relay, BDU(Battery Disconnect Unit) 전기차 부품 등의 수요는 끊이질 않았다. 

실제 LS이모빌리티솔루션은 지난해 7000억원에 이어 올해 상반기에만 4000억원을 수주한 바 있다. 전 세계 자동차 판매 3위 기업으로 발돋움한 현대·기아차가 최근 전동화 전환에 박차를 가한 만큼 LS이모빌리티솔루션의 EV Relay 수요는 지속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또 현재 세계 각국의 환경 및 연비 규제와 자동차 회사들의 가격 인하 경쟁으로 인해 전기차 시장이 급속 확대되는 등 하반기 대형 프로젝트 수주는 물론 중장기적으로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LS이모빌리티솔루션은 이에 맞춰 세계 최대 규모로 꼽히는 북미 전기차시장 대응을 위해 연내 멕시코 두랑고 공장을 준공하고 내년 하반기부터는 해당 공장에서 생산하는 양산부품을 고객사에 공급할 예정이다.

북미 전기차시장은 바이든 정부의 친환경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에 따라 지난해 기준 75만대에서 2025년 203만대, 2030년에는 602만대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포드 등 미국 빅3 완성차 업체들도 차세대 전기차 개발에 과감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어 시장 성장세는 더욱 빨라질 것이란 기대가 높다. 

LS이모빌리티솔루션 관계자는 “글로벌 수준의 기술력과 신뢰성을 기반으로 설립 1년 만에 1조원 수주를 달성할 수 있었다”며 “북미 공장을 세계 전기차시장 공략의 전초 기지로 활용하고 글로벌 메이커들과 적극 협업해 전기차 부품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