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경영 전문가들 "미래 가치 증진, 글로벌 톱 기업 도약 가능할 것"

(왼쪽부터) 이지환 카이스트 경영공학부 교수와 이성준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장, 송재용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가 지난 28일 SK서린빌딩 3층 수펙스홀에서 열린 SK이노베이션 R&D경영 40주년 성과 분석 심포지엄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SK이노베이션 제공
(왼쪽부터) 이지환 카이스트 경영공학부 교수와 이성준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장, 송재용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가 지난 28일 SK서린빌딩 3층 수펙스홀에서 열린 SK이노베이션 R&D경영 40주년 성과 분석 심포지엄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SK이노베이션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국내 대표 기업경영 전문가들이 정유회사에서 시작해 국내 최대규모의 에너지 기업으로 발돋움한 SK이노베이션이 종합에너지를 넘어 글로벌 그린 에너지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을 ‘최고 경영층의 강력한 리더십이 이끈 R&D경영’으로 꼽았다. 

송재용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와 이지환 카이스트 경영학과 교수는 지난 28일 오후 SK서린빌딩 3층 수펙스홀에서 컨퍼런스를 갖고 ‘SK이노베이션의 40년 R&D 경영’을 공동으로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은 이날 우리나라에 안정적인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내 정유회사를 종합에너지 기업을 넘어서 글로벌 수준의 그린 에너지 기업으로 성장시킨 원동력은 강력한 리더십의 혁신적인 R&D 경영에서 나왔다고 설명했다.

특히 두 교수는 R&D 경영이 단기적으로는 원유의 안정적인 공급원이 없는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최고 수준의 정유기업 경쟁력을 갖게 했을뿐 아니라 수직계열화를 완성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분석했다.

또 정유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면서 확보한 다양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화학, 바이오 및 윤활기유, 분리막, 배터리 등 현재 SK이노베이션 계열의 핵심 사업을 개발하고 사업화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고 봤다. 

이를 기반으로 독립경영까지 가능하게 됐으며, 이 같은 연구개발은 SK이노베이션만이 가진 특유의 R&D 경영의 결과로 교수들은 경쟁력이 SK이노베이션이 미래형 그린 에너지와 소재 기업으로 대 전환하는데 결정적인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최근 전사가 강력히 추진 중인 ‘올 타임 넷제로’(All Time Net Zero) 방향의 파이낸셜 스토리 완성은 물론 미래 가치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평가다. 이와 함께 SK이노베이션만의 독특한 R&D 경영 모델인 ‘SKinnoWay R&BD’도 도출했다. 

두 사람은 4E, 즉 ▲경영철학과 도전(Entrepreneurship) ▲기존사업 경쟁력 강화(Exploitation) ▲미래형 신사업개발(Exploration) 및 기술역량(Expertise) 등으로 구성된 혁신모델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제품 품질, 원가 경쟁력 강화를 비롯해 공정개선 및 최적화와 촉매·합성·분석 등 공통역량 축적 면에서 뛰어나 사업개발(Business Development)을 주력으로 하는 R&BD 구조를 가진 점이 가장 큰 차별적 우위라고 말했다. 

이런 구조로 만들어진 배터리, 분리막, 윤활기유, 넥슬렌, 신약개발(지금의 바이오사업) 등이 대표적인 사업들로 교수들은 지금의 SK이노베이션과 SK그룹의 중요한 기업가치를 담당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교수들은 SK이노베이션의 R&BD 경영이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이유로 "장기간 투자가 필요한 R&D를 이끌어가는 강력한 리더십이 무엇보다 중요했다"며 그린 에너지에서는 글로벌 톱 기업으로 도약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뒷받침하는 사례로는 최종현 선대회장이 유공 인수 직후 R&D경영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종합에너지 기업으로의 전환 선언(1982년)에 이어 기술개발연구소를 설립(1983년)한 것을 예로 들었다. SK이노베이션의 R&D 경영 40주년은 이를 기점으로 산정한 것이다.

끝으로 교수들은 분석을 마무리하며 SK이노베이션의 ‘그린 에너지 소재 기업’(Green Energy & Materials Company) 완성을 위한 핵심 실행방안으로 R&BD 경영 강화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지속적인 제도, 조직 운영 시스템, 문화 혁신으로 이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성준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장은 이날 행사에서 “R&D경영을 통해 SK이노베이션의 기업가치가 계속 커져 왔음이 확인된 만큼 혁신적 제도·시스템·문화 혁신을 통해 올 타임 넷를로 완성하면서 그린 에너지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