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등 여객·화물열차 20~60% 감축 운행
철도노조 수서행 KTX 운행·4조2교대 적용 등 요구
국토부, 오늘부터 '비상 수송 대책 본부' 확대 운영
이정식 장관 "불법파업 강행시 타협 없이 엄정 대응"

철도노조 총파업이 내일부터 시작돼 이용객들의 불편함이 가중될 전망이다. 사진=픽사베이
철도노조 총파업이 내일부터 시작돼 이용객들의 불편함이 가중될 전망이다. 사진=픽사베이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전국철도노동조합 총파업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물류와 교통 대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13일 철도노조에 따르면 이번 파업은 경고성 1차 파업이다. 14일  오전 9시부터 18일 오전 9시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노조는 전체 노조원 2만1938명 중 64.4%에 달하는 1만9825명의 찬성으로 파업을 가결하고 파업 일정을 조율했다. 이번 파업은 2019년 11월 이후 4년 만이다.

파업시 고속철도(KTX) 등 여객 열차와 화물 열차는 20~60% 가량 감축 운행돼 이용객 불편과 물류 차질이 생길 전망이다. 노조는 지난 2일 준법투쟁을 중단하면서 국토교통부에 수서행 KTX 운행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대화를 제안했지만 거부당했다며 파업을 결정했다.

철도노조는 수서역을 기반으로 하는 SRT와 서울역을 기반으로 하는 KTX의 분리 운영이 철도 민영화의 수순이라며 수서행 KTX 운행을 주장하고 있다. 아울러 현재 80%만 전환된 4조2교대를 나머지 20%에도 적용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철도노조는 지난 7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국민 불편 초래 철도노조 파업 계획 철회 촉구’ 자료에 대해 “시민 불편을 초래한 건 국토부다. 진정 시민의 편리한 열차 이용을 생각한다면 지금이라도 바로 수서행 KTX를 운행해 열차 대란을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토부는 노조가 정부의 철도정책을 이유로 파업을 계획했으며 철도정책에 대해 내놓는 주장은 일방적이므로 파업의 명분이 없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국토부의 주장에 유감을 표했다. 노조는 이번 1차 총파업에 돌입한 후 국토부와 철도공사 입장을 지켜보며 제2차 총파업에 나설 예정이다.

국토부는 이날부터 비상대책반을 ‘정부 합동 비상수송대책본부’로 확대 운영한다. 대체 인력을 활용해 출퇴근 시간대 광역전철과 KTX 등의 운행률을 평소의 70% 수준으로 확보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고속·시외버스를 추가 배차하고 지방자치단체와도 적극 협력해 서울지하철 1·3·4호선을 증편하며 수요에 맞춰 전세·예비버스 등도 충분히 투입하는 등 국민의 출퇴근에 지장이 없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백원국 국토부 2차관은 “수서행 KTX 운행, 코레일·SR 통합 요구 등 정부 정책에 대한 반대를 명분으로 하는 파업은 명백한 불법”이라며 “정부의 파업 계획 철회 촉구에도 불구하고, 철도노조가 불법 파업을 강행하는 경우에는 타협 없이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철도노조 총파업에 대해 “국민 불안과 불편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정당성과 명분이 결여된 파업을 철회해달라”며 “국민 경제와 일상 생활을 볼모로 한 투쟁은 국민의 공감과 지지를 얻기 어렵다. 이는 우리 사회의 통합과 안정을 저해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어 “불법 행위에 대해서는 범정부적 역량을 총동원해 노사 불문 무관용의 원칙에 따라 엄정히 대응하겠다”며 “각 지자체는 파업 과정에서 불법 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 지도하고 법과 원칙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해달라”고 요청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