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진, 10개의 유전자 조작된 돼지 심장 사용
환자 회복 단계… 가족과 의사소통 가능한 상태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미국 연구진이 유전자를 조작한 돼지의 심장을 환자에게 이식했다. 사상 두 번째 도전으로, 이번에는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관심이 모인다.
22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메릴랜드 의과대학 연구팀은 지난 20일 말기 심장질환 환자인 로런스 포시트(58)에게 돼지 심장을 이식했다.
연구팀은 “포시트는 현재 회복 중이다. 부인과 자녀 등 가족과 의사소통이 가능한 상태”라고 전했다. 메일랜드 대학에 따르면 새로운 심장은 보조 장치 도움 없이 잘 기능하고 있다.
돼지 심장 이식 수술을 받은 포시트는 수술 전 “나에게 남은 유일한 희망은 돼지 심장, 즉 이종 이식을 하는 것이다. 적어도 지금은 희망이 있고 기회가 있다”고 말했다.
포시트는 기존의 혈관 질환과 내부 출혈 합병증으로 인간 심장을 기증받을 수 없어 이 같은 실험적인 이식 수술을 받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면역체계 거부반응을 막기 위해 유전자를 조작한 돼지의 심장 이식을 결정했다.
지난해 1월 해당 연구팀은 돼지심장을 인간에게 이식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하지만 돼지 심장을 이식받은 57세 남성은 두 달 뒤 사망했다. 부검 결과 환자에게선 돼지에 폐렴 등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DNA가 발견됐으나, 심각한 거부반응은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수술에서는 10개의 유전자가 조작된 돼지의 심장을 사용했다. 이 돼지는 유전자 의료기업이 사육했다. 인체 면역시스템에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3개의 돼지 유전자와 돼지 심장의 성장과 관련한 1개 유전자가 제거됐다.
또 인체 거부반응을 최소화하기 위해 첫 번째 이식 때 사용되지 않았던 최신 기술을 도입해 바이러스와 항체 등을 검사했다.
최근에는 뉴욕대(NYU) 연구팀이 뇌사 환자 2명에게 돼지 심장을 이식하기도 했다. 돼지 심장은 뇌사자의 몸 속에서 3일간 정상적으로 기능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에서는 장기이식 희망자 명단 대기자가 10만명이 넘는다. 하지만 장기 부족으로 매년 6000명 정도가 수술을 받지 못한 채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내일부터 '수술실 CCTV' 의무화… 의사·환자 모두 '불만'
- 대구의료원 신임 원장에 김시오 전 칠곡경북大 병원장 내정
- "무의미한 연명의료 거부" 사전서약 200만명 달해… 한달새 5만명↑
- 건보공단 '유튜브 콘텐츠 시나리오 공모전' 내달 말까지 접수
- 건보공단, 22일 '소비자단체 대표자 간담회' 열어
-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법’ 국회 문턱 넘는다… 적용은 언제부터?
- “안전하고 편안한 추석 만들기 총력”…대구시, 추석 연휴 종합대책 추진
- 유전자편집 기술 치료제 등장 초읽기… 툴젠, 상승세 이어가나
- [메타센서] 의료계 파업 협박에 굴복?… 정부, 의대정원 수요조사 발표도 못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