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5월 기준 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 21만8000명
10명 중 4명은 집에서만 시간 보내는 '미취업' 청년들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3년 이상 취업하지 않는 청년들이 20만명을 넘어선 가운데 10명 중 4명은 교육과 직업훈련을 받지 않는 '니트족'인 것으로 조사됐다. 니트족은 사실상 일하지 않고 일할 의지도 없는 구직단념자들을 뜻하는 신조어다.
22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청년층(15~29세) 부가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최종 학교를 졸업(수료·중퇴 포함)했으나, 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은 21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들 중 구직 활동을 하지 않고 주로 집에서 시간을 보냈다는 청년은 36.7%인 8만명이다. 10명 가운데 4명이 이처럼 직업 훈련이나 취업시험 준비, 구직활동, 육아나 가사 등을 하지 않고 그냥 시간을 보낸 장기 미취업 청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기 니트족의 비중은 2018년(24.0%), 2019년(24.7%) 2020년(25.5%) 등 줄곧 20%대에 머물렀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인 2021년 34.7%로 대폭 상승했다. 이후 지난해는 37.4%까지 높아졌다.
장기 니트족은 2021년(9만6000명) 9만명대에서 지난해 8만4000명 줄었으나, 코로나19 이전인 2018년(5만4000명)과 2019년(6만4000명)보다는 많았다.
취업을 위한 활동 비중의 경우 미취업 기간이 6개월 미만일 때 53.0%, 1∼2년 미만일 때 58.2% 등으로 절반 이상을 기록했다. 하지만 미취업 기간이 3년 이상이 되면 36.5%까지 급격히 떨어졌다.
장기 니트족이 여전히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웃도는 반면 청년 고용률과 경제활동참가율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넘어 호조세다.
실제 청년층 고용률은 5월 기준 2019년 43.6%에서 지난해 47.8%로 올라갔고 올해는 47.6%로 소폭 하락했다. 경제활동참가율은 2019년 48.4%에서 지난해 51.5%까지 올라간 뒤 올해 50.5%로 내려갔다.
- 졸업한 '청년백수' 126만명 시대… 4명 중 1명 "그냥 쉰다"
- 건보공단, 신용회복위와 '취약청년 체납 건보료 지원' MOU
- "최대 300만원 청년지원금 쏜다"… 서울시 '청년수당' 요건은?
- 부안 해상서 예인선과 낚시배 충돌… 14명 구조·4명 사망
- 윤 대통령 "사우디와 새로운 협력분야 지속 개척해 나가길 기대"
- 고 이건희 선대회장 의지 계승… 이재용 삼성 회장, 승지원서 'LJF 30주년 교류회' 주재
-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 "원칙, 상식 기반한 대북 관계 형성에 노력할 것"
- 석유 유통업계, 정부 알뜰주유소 확대 방침에 반발… "유통망 무너질 수 있어"
- 미, 중동 방어력 증원… '사드 배치' 등 대비태세 강화
- 배우 전혜진, 강남 '알짜 빌딩' 손해보고 팔았다… 왜?
- 그냥 쉬는 청년백수 일자리 유인에 1조원 투입… 약발 있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