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난 등 시장상황 고려하지 않아" 정책 철회 촉구

정부가 유류가격 안정화 대책으로 내놓은 연내 수도권 알뜰주유소 10% 확대 방침에 대해 석유 유통업계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정부가 유류가격 안정화 대책으로 내놓은 연내 수도권 알뜰주유소 10% 확대 방침에 대해 석유 유통업계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정부가 최근 치솟는 유류가격 안정화 대책으로 가격이 저렴한 알뜰주유소를 연내 수도권에 10% 이상 확대하겠다고 밝힌 이후 석유 유통업계의 반발이 점차 심화되는 상황이다.  

한국주유소협회와 한국석유유통협회는 22일 “경영난으로 휴·폐업이 증가하는 석유 유통시장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정책”이라고 지적하면서 알뜰주유소 확대 철회를 촉구했다.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18일 석유업계와 간담회에서 이스라엘-하마스 무력충돌 등 유가 상승에 따른 부담을 국민에게 일방적으로 전가되지 않도록 가격 정책을 시행해 줄 것을 주문했다. 

당시 방 장관은 이와 함께 높은 인구밀도에도 상대적으로 알뜰주유소가 적은 수도권 지역의 자영 알뜰주유소를 올해 안으로 10% 이상 확대하는 방안을 내놨다. 하지만 관련 업계에선 주유소 간 불공정 경쟁을 부추기는 등 부작용이 크다고 주장한다. 

특히 두 협회는 “알뜰주유소와 경쟁에서 밀린 일반주유소는 2011년 기준 1만2901개소에서 지난해 1만954개소롤 2000개소 가까이 줄었다”며 “반면 알뜰주유소의 점유율은 매년 상승해 지난해 기준 11.9%를 기록했고, 판매량 점유율도 20.9%로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일반주유소의 시장 퇴출을 부채질하는 무책임한 선택”이라며 “알뜰주유소 확대 방침은 시장에서 석유제품 유통망이 무너지는 부작용을 야기하고 결과적으로 기름값 인하 효과도 제한되게 할 것”이라며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