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만가구 규모 미니신도시 조성, 수도권 총 6만5000가구
3기신도시 공급 1년 이상 지연… 정부 "시장상황 지켜볼 것"

윤석열 정부가 총 8만가구 규모의 신규 택지 조성을 발표했다. 사진=국토교통부 제공
윤석열 정부가 총 8만가구 규모의 신규 택지 조성을 발표했다. 사진=국토교통부 제공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3기신도시 사업이 1년 이상 지연되는 가운데 윤석열 정부가 경기 구리시 토평과 오산시 세교 등 전국 5개 지역에 총 8만 가구의 ‘미니신도시’급 신규 택지지구가 조성하기로 발표했다.

1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구리 토평2와 오산 세교3, 용인 이동, 청주 분평2, 제주 화북2 등 전국 5개 지구에서 총 8만가구 규모의 신규 택지지구가 조성된다. 올 9월26일 발표한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의 후속 조치다. 신규 택지 발표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세 번째다.

수도권에는 3개 지구에 총 6만5500가구가 공급된다. 서울 광진구와 인접한 구리 토평2지구는 1만8500가구 규모의 수변도시로 탈바꿈된다. 화성~용인~평택 반도체 클러스터의 중심에 위치한 오산 세교3지구는 3만1000가구로 계획됐다.

첨단 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인근인 용인 이동지구에는 1만6000가구가 지어질 예정이다. 지방에서는 인구가 늘었지만 주택 공급이 적었던 청주 분평2지구(9000가구)와 제주 화북2지구(5500가구)가 후보지로 선정됐다.

국토부는 이들 지역에 2025년 상반기까지 택지지구 지정을 완료하고, 2026년 하반기 지구계획을 승인할 예정이다. 2027년 상반기 첫 사전청약에 나서는 등 공급을 본격화한다. 정부는 주택 공급이 부족하다는 시장의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지속적으로 공공택지를 공급할 방침이다.

이번 신도시 발표는 주택 수요가 늘어날 지역에 중장기적으로 공급 기반을 확충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주택 수요자에게 입지가 좋은 지역에 꾸준히 주택을 공급해 부동산시장 안정을 도모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최근 공급 여건이 악화하며 3기 신도시 등 기존 신도시 공급조차 1년 이상 지연되고 있는 데다 서울 도심 공급 방안은 나오지 않고 있어 수급 불안 우려를 해소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기신도시는 2019년 발표 당시 2025∼2026년 입주를 목표로 했지만 최근에야 일부 지역에서 착공이 시작됐다. 이후 절차가 예정대로 진행된다 해도 이미 1~2년 지연된 상태다. 이에 현실성이 부족하다는 우려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후보지 조사와 관계기관 협의를 지속해 필요한 경우 내년에도 광역교통망이 양호한 지역에 신규 택지를 추가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