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여사 측근 줄소환, 신한·경남스틸 기업 인사들도 포함
184억 투자금 향방 추적, 김 여사 집사 아내부터 정조준

김건희 여사 일가의 집사로 알려진 김예성씨 부인 정모씨가 23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에 마련된 민중기 특별검사팀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건희 여사 일가의 집사로 알려진 김예성씨 부인 정모씨가 23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에 마련된 민중기 특별검사팀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정현호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인 김건희 여사를 둘러싼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집사게이트’부터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 사적 자원 활용 여부까지 수사 범위를 전방위로 넓히며, 핵심 인물들을 줄줄이 불러 조사하고 있다.

23일 특검팀은 ‘김건희 여사의 집사’로 알려진 김예성씨의 배우자 정모씨를 소환해 IMS모빌리티 투자금 184억원 중 46억원이 이노베스트코리아 구주 인수에 사용됐고 이 자금이 김 여사에게 흘러들어갔는지 여부를 집중 추궁했다.

특검은 투자금이 대가성 또는 보험성 자금일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투자 결정에 관여한 정근수 전 신한은행 부행장, 최석우 경남스틸 대표, JB우리캐피탈 관계자까지 줄줄이 소환해 조사를 이어갔다.

같은날 김 여사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도 피의자 신분으로 재출석했다. 이 전 대표는 도이치모터스 1차 작전 주범으로부터 8000만원을 받고 “집행유예를 나오게 해주겠다”고 한 혐의를 받는다. 

그는 22일 특검 수사 방식에 불만을 품고 출석을 거부했지만, 결국 다시 소환됐다. 특검은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해선 구속된 이일준 회장과 이응근 전 대표이사도 처음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이들은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추진을 내세워 주가를 띄운 뒤 369억원의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특검은 구속영장이 기각된 조성옥 전 회장에 대해서는 영장을 다시 청구할 방침이으로 도주 중인 이기훈 부회장에 대해서도 체포에 나섰다.

김 여사가 대통령실 자원을 사적으로 활용했는지 여부를 규명하기 위해 당시 대통령실 인사들까지 조사 대상에 포함했다. 

김 여사가 윤 대통령 나토(NATO) 순방 시기에 통일교로부터 6000만원 상당의 그라프 목걸이를 받은 정황, 최근 확보한 샤넬백 영수증 등이 주요 수사 대상이다.

통일교측이 자진 제출한 영수증에는 통일교 전 세계본부장이 건진법사를 통해 김 여사에게 선물을 전달한 내역이 포함돼 있다. 특검은 대통령실 자원 사적 활용 여부를 비롯해 대통령 부부 및 주변 인물들의 연루 가능성을 추적하고 있다.

전날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외가 6촌 친척이자 전 시민사회1비서관이었던 최승준씨도 소환됐다. 특검은 김 여사 관련 의혹 수사를 통해 ‘영부인 리스크’ 실체를 가시화하며, 수사 강도를 끌어올리는 모습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