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평택항에 철강 제품이 쌓여 있다. 사진=연합뉴스
경기도 평택항에 철강 제품이 쌓여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최찬우 기자] 미국이 철강 제품에 최대 5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등 보호무역주의 기조를 강화하면서 올해 상반기 국내 제품을 겨냥한 신규 수입 규제의 절반이 철강 부문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미국이 관세 장벽을 무차별적으로 높이는 가운데 각국이 반덤핑·상계관세·세이프가드 등 전통적 무역 규제 수단까지 총동원해 한국 기업의 대응 전략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8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한국산 제품에 대한 수입 규제가 총 218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216건)보다 소폭 증가한 수치로 이 가운데 9개국에서 10건의 신규 규제가 적용됐다.

품목별로 보면 철강·금속 분야가 5건으로 절반을 차지했다. 화학(2건), 기타(2건), 플라스틱·고무(1건)가 뒤를 이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은 한국산 알루미늄·아연도금 강판에 대해 세이프가드 조사를 개시했다가 종료했다. 이집트는 열연 강판을 대상으로 세이프가드 조사를 시작했다. 영국은 열연 강판, 캐나다는 강철 결속재, 말레이시아는 아연도금 강판에 각각 반덤핑 조사를 착수했다.

사진=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사진=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코트라는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가 도화선이 돼 각국의 철강 규제가 확산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미국은 지난 3월부터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적용한 데 이어 지난 6월부터 이를 50%로 상향했다.

대만은 미국의 관세 조치에 따른 ‘밀어내기 수출’ 가능성을 우려해 철강 구조물 수입 규제를 강화했다. 유럽연합(EU)과 이집트, 말레이시아도 추가적인 철강 제재를 예고했다.

미국은 단일 국가로서 한국산 제품에 가장 많은 제재를 가했다. 상반기 기준 전체 218건 중 54건(25%)이 미국 조치였다. 세부적으로는 반덤핑 38건, 상계관세 12건, 세이프가드 2건, 우회 수출 관련 조사 2건이 포함됐다.

미국은 지난 4월 한국산 단량체 및 올리고머에 대해 신규 반덤핑 조사를 시작했다. 이 물질은 포장재 인쇄용 잉크, 전자부품 코팅, 3D 프린팅 소재 등 다양한 산업에 쓰이며 최근 수요가 급격히 늘었다.

코트라 관계자는 "미국은 지난해 말부터 반덤핑 및 상계관세 제도 강화를 추진하고 국가안보를 명분으로 무역확장법 232조 활용, 불공정 무역 행위에 대응해 무역법 301조 가동 등 무역장벽을 높였다"며 "조사 중인 품목 및 예상 규제 품목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25년 상반기 對韓 수입규제 신규 조사개시 건. 자료=코트라
2025년 상반기 對韓 수입규제 신규 조사개시 건. 자료=코트라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