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최찬우 기자] 국내 조선업계가 사상 최대 규모의 해외 잠수함 사업에서 결선에 올랐다. 결선 진출 과정에서 한화오션과 ‘원팀’을 이룬 HD현대가 지원하는 등 K-조선 위상을 높였다는 평가가 나온다.
27일 방산업계에 따르면 한화오션과 HD현대중공업이 캐나다 초계 잠수함 프로젝트(CPSP)에서 독일 티센크루프마린시스템(TKMS)과 함께 최종 후보 명단(숏리스트)에 포함됐다.
지난해 호주 호위함 사업에서 각각 경쟁에 나섰다가 모두 고배를 마신 두 업체는 이번에는 협력 전략으로 방향을 바꿔 성과를 거뒀다. 캐나다 정부는 추가 평가를 거쳐 내년 중 최종 사업자를 확정할 예정이다.
캐나다 잠수함 사업은 2030년대 중반 퇴역 예정인 빅토리아급 잠수함(4척)을 대체하기 위해 최대 12척의 디젤 잠수함을 확보하는 계획이다. 획득 비용만 최대 20조원에 달한다. 앞으로 30년간 운영·유지 비용까지 합산하면 사업 규모는 최대 60조원에 이른다. 한국 업체가 최종 수주에 성공할 경우 단일 방산 수출 계약으로는 사상 최대 기록을 새로 쓰게 된다.
이번 경쟁에는 프랑스 나발그룹, 스페인 나반티아, 스웨덴 사브 등 유럽 주요 조선·방산기업들이 대거 참여했지만, 최종적으로 한국 컨소시엄과 TKMS가 결승 티켓을 거머줬다.
한화오션과 HD현대중공업은 방위사업청 중재로 지난 2월 ‘원팀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양사는 각자 강점을 살려 한화오션은 잠수함, HD현대는 수상함 수출을 주관하고 서로 지원하는 방식으로 해외 사업에 대응한다.
특히 지난해 호주 신형 호위함 사업에서 단일팀으로 응찰한 일본·독일 업체들에 밀려 고배를 마신 경험이 이번 원팀 전략의 배경이 됐다. 당시 한국은 기업 간 분산 대응과 정부 지원 부족이 패인으로 꼽혔다.
한화오션은 이번 캐나다 사업에서 3000t급 장보고-Ⅲ 배치-Ⅱ 잠수함을 제안했다. 이 잠수함은 공기불요추진장치(AIP)와 리튬이온 배터리를 적용해 3주 이상 연속 수중 작전이 가능하고 최대 7000해리(약 1만2900㎞)를 항해할 수 있다.
업계에 따르면 한화오션은 검증된 기술력과 빠른 납기 역량, 현지화 전략을 앞세워 캐나다 해군으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이끌어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역시 이번 사업을 ‘K-잠수함’ 수출의 기회로 보고 적극 지원하고 있다. 방위사업청은 지난 3월 캐나다 현지에서 ‘한-캐나다 방산군수공동위원회’를 열고 협력 의지를 밝힌 데 이어 지난달에는 대통령 특사단을 파견해 사업 협조를 당부했다.
최종 계약은 2028년께로 예상되지만 조기 계약 가능성도 제기된다. 방사청 관계자는 “캐나다 주요 인사 접촉과 현지 여론 형성을 통해 한국이 최종 수주에 성공할 수 있도록 전방위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 KDDX 지연, MASGA 협력 기회 될까… 공동설계 논의 재점화
- 美 조선업 부활 외친 트럼프, 한국 기술 없인 불가능?
- 노란봉투법 후폭풍… 제철·택배 등 산업계 전방위 '흔들'
- [미래 보는 한화②] M&A 성공, 글로벌 방산·조선 강자로
- [미래 보는 한화①] 새 시대 여는 '민간우주산업' 신호탄
- 삼성·HD현대, 미 조선업 동반 진출… MASGA '투자·MRO' 가속
- HD현대중공업·현대미포 합병…"K-조선·방산 키운다"
- "친환경 규제가 기회로" 조선 엔진업계, 글로벌 판도 흔든다
- 한화, 서울세계불꽃축제 개최… '골든 아워' 연출 첫 선
- HD현대중공업, 자체 개발 500MW급 해상변전소 국제 설계 검증 획득
- 한화, 폴란드 MSPO서 차세대 무기체계 '총출동'… 유럽시장 공략 강화
- 한화오션, 임금교섭 조기 타결…노사 상생·생산 안정화
- HD현대, 필리핀 첫 선박 건조 돌입… 글로벌 수주경쟁력 강화 시동
- [CEO투데이] 김희철 한화오션 대표, 잇단 인명사고에 리더십 '흔들'
- 한화오션, 양밍해운 대형 컨테이너선 7척 수주… 대만시장 입지 확대
- 한화오션, '오션하모니' 개최… 홍경민·왁스 출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