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서동민 기자] KT가 서울대학교, KAIST와 산학 공동 연구를 본격화하며 AICT(인공지능·통신 융합) 핵심 기술 확보에 나선다. 3일 KT는 서울 서초구 우면연구센터에서 양 대학과 함께 AICT 기술 개발 협력 확대를 위한 킥오프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KT 오승필 기술혁신부문장(부사장), 배순민 AI Future Lab장(상무), 서울대 장병탁 교수, KAIST 김기응 교수 등 산학 연구진 100여 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해 향후 1년간 추진할 연구 과제를 공유하고 협력 방향을 논의했다.
KT의 이번 공동 연구는 전략적 ‘Open R&D’의 일환으로, 산학 협력 범위를 서울대와 KAIST로 확장해 장기 연구개발을 넘어 실제 사업화와 직결될 성과 창출을 목표로 한다. 연구 주제는 ▲자율형 에이전트 ▲Responsible AI(신뢰성 기반 AI) ▲Physical AI ▲인간 피드백 기반 강화학습 ▲추론 효율화 등 차세대 핵심 기술이다.
KT는 GPU와 AI 모델, 데이터 등 연구 인프라를 제공하며, 자사의 한국형 파운데이션 모델 ‘믿:음 2.0’을 적극 활용해 연구 실행력을 높일 계획이다. 이를 통해 AI 핵심 기술 내재화와 산업 현장 적용 가능성을 동시에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서울대는 인간 중심 신뢰 기반 AI를 위한 ▲강건한 컨텍스트 추론 ▲인간 피드백 강화학습 프레임워크 ▲RAI 평가기준 개발 ▲사용자 상호작용 기반 Actionable AI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KAIST는 프롬프트 압축 및 최적화 기술을 통해 대규모 언어모델의 효율성과 정확도를 높이는 데 주력한다.
KT는 확보한 기술을 ‘믿:음 2.0’ 고도화와 자율형 에이전트, Responsible AI 등 자사 AI 라인업 강화에 적용하고, 공공·법률·금융·교육·의료 등 다양한 산업으로 확산시킬 방침이다. 나아가 연구 성과를 토대로 참여 기관을 확대하고 글로벌 경쟁력까지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서울대 장병탁 교수는 “대학 단독 연구의 한계가 커지는 상황에서 KT의 데이터와 인프라는 기술 개발과 인재 양성에 중요한 기회”라고 평가했다. KAIST 김기응 교수는 “학문적 탐구와 산업적 활용을 잇는 모범적 협력 모델”이라고 강조했다.
오승필 KT 기술혁신부문장은 “사업 적용이 가능한 핵심 과제 중심으로 산학 협력을 구성했다”며, “이번 협력 모델은 국내 AI 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밝혔다.
- KT·현대해상, 시니어 전용 서비스 생태계 구축 맞손
- KT, 국내 첫 양자키분배 장비 국정원 보안검증 통과
- KT, 국가유공자 청력 회복 지원사업 '소리찾기' 전국 진료 종료
- KT, 지니 TV 키즈랜드 신작 '베베핀: 커다란 동물 세계' 공개
- KT, '장기고객 감사드림' 개편 1주년… 이용률·만족도 동반 상승
- KT, '에이블스쿨 7기 잡페어' 개최… AI 인재와 기업 연결
- KT, 광명·금천 소액결제 피해에 상품권결제 한도 10만원으로 일시 축소
- 아이폰17, SNS 통해 아이폰17 세일즈 정보 공개…가격 최대 249만원
- KT 소액결제 수법 오리무중… 본인인증마저 무력화 의혹
- KT, 광화문에 초대형 'KT 스퀘어' 미디어월 공개
- 정부, KT 소액결제 침해 의혹에 합동조사단 긴급 가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