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사우스와 협력 강화 전망
AI·방위산업·문화 MOU 체결 예정

[서울와이어=정현호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차 아프리카와 중동으로 향한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7박10일간 이어지는 이번 일정은 아랍에미리트(UAE), 이집트, 남아프리카공화국, 튀르키예를 아우르는 정상외교에 주력할 방침이다.
정치권에선 순방이 한국 외교의 다변화와 실용주의 기조를 강조하는 '성과 중심 외교'의 시험대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UAE 아부다비에 도착하며, 첫 일정을 시작한다. 오는 18일에는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하얀 UAE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인공지능(AI)·방위산업 협력 등 주요 분야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계획이다.
이어 같은 날 진행되는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등 주요 경제인이 참여해 양국 기업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한다.
이 대통령은 오는 20일엔 이집트 카이로로 이동해 압델 파타 엘시시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카이로대학 연설에 나선다.
연설에서는 한국 정부의 대중동 전략과 협력 구상을 소개하며, 한국 외교의 중동 전략을 국제무대에서 설득력 있게 설명할 것으로 보인다.
그는 오는 22~23일,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에서는 총 3개 세션에도 참여한다. 이 자리에서는 포용적·지속 가능한 성장, 기후변화 대응, 공정한 미래 등 글로벌 의제에 대해 논의가 이뤄진다.
한국이 주도하는 중견 5개국(MIKTA) 협의체 소속국 정상들과도 회동을 갖는다. 이 대통령은 마지막 일정으로 튀르키예 앙카라를 방문,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과 정상회담 및 MOU 서명식을 진행한 뒤 귀국한다.
대통령실은 이 대통령의 순방이 지난 6월 G7 정상회의와 10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이후 한국 정부가 안정적으로 다자외교 무대에 복귀했음을 국제사회에 알리는 의미 있는 행보라고 평가한다.
한편 아프리카·중동 순방에는 단순 외교 일정뿐 아니라 AI·방위산업·문화 협력 성과 도출은 물론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과의 전략적 협력 공간 확장이라는 다층적 목적이 담겼다.
정부는 격변하는 국제 질서 속 한국 외교의 실용적·효율적 전략을 구체화하는 등 장기적 국익 확보를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겠다는 목표다.
- [K-방산은 지금] 3분기 역대 최대 실적, '1조 클럽' 이어간다
- 한·미 정상회담 29일 경주서 개최...관세협상 다뤄질듯
- 李 대통령, 방미 마치고 귀국길… 숨가빴던 외교·경제 '투트랙' 행보
- 李대통령, '모두의 AI' 안보리 토의 주재ㆍ투자 서밋 참석 등 뉴욕행
- 이 대통령, 미·일 순방 일정 확정… 한화 필리조선소 시찰에 트럼프는?
- 조수미 '아리아리랑', UAE 대통령궁서 퍼진다... 한-UAE 문화외교 새 이정표 세워
- 李대통령, "한국-UAE 백년대계 구축" 선언...미래전략 파트너십 구축
- 李대통령·모하메드 "한국·UAE, 100년 동행"… 8대 분야 협력 청사진 제시
- 李대통령, 남아공행… G20·한·프·독 첫 정상회담 '3중 외교전' 돌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