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라, 1억2500만 달러 벌금 물어
리비안은 테슬라와 소송으로 진통
루시드·로즈타운도 미 당국 조사받아

[서울와이어 김상혁 기자] 테슬라의 뒤를 이을 것으로 기대되는 전기차 스타트업들이 사기 등 각종 위법 혐의로 줄줄이 미 감독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다.
22일 로이터에 따르면 테슬라 추격자로 평가받는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니콜라가 증권거래위원회(SEC)에 1억2500만 달러(한화 약 1489억원)의 벌금을 내는 데 합의했다.
미 증권거래위원회는 니콜라가 2020년 3월부터 9월까지 자체 생산 능력, 상품, 재무 전망 등에 수많은 오해의 소지를 불러일으키는 진술로 증권법을 위반했다고 밝혔다.
니콜라 측은 이번 합의에 대해 구체적 입장은 표명하지 않았다. 단지 "정부 조사가 전부 마무리돼서 기쁘다.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회사 비전을 이어가겠다"고만 말했다. 사기 혐의에 몰린 창업자 트레버 밀턴(Trevor Milton)은 회장직에서 물러났다.
테슬라의 저격수를 자처했던 루시드도 미 증권거래위원회 조사를 받고 있다.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을 통한 우회상장 때문이다. 미 증권거래위원회는 루시드 측에 처칠캐피털코프와 합병 당시의 관련 서류를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루시드와 처칠캐피털코프는 올 7월 합병 당시 약 240억 달러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으면서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와 블랙록, 프랭클린 템플턴 등 자본 투자가 이어졌다. 국내 기업인 LG화학, 삼성SDI와도 협약을 맺으며 단숨에 테슬라 라이벌로 부상했다. 하지만 루시드가 생산 능력을 과장 발표해 이득을 취했다며 집단 소송이 발생해 당국이 조사에 들어갔다.
잠룡으로 불렸던 전기차 스타트업 로즈타운은 차량 선주문 허위 사실로 조사를 받고 있으며 리비안도 테슬라와 기술 유출 관련 소송이 진행 중이다.
미 증권거래위원회는 "강력한 구제책이 필요하다"며 "기업인수목적회사 관련 규정을 강화하고 회계 관행을 바꾸는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전기차 스타트업에 대한 단속이 대대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미 워크호스와 카누 등 일부 전기차 스타트업은 조사 대상에 포함됐다.
- 현대차, 전기차 확대 올인...미국서 승부수
- '가이딩 스타' 노린다… 폴스타 국내 론칭
- 잘나가던 배터리 3사, 미국 시장 악재로 발목잡혀
- 람보르기니 "전동차가 100% 전기차는 아냐"...합성연료에 눈길
- [CEO 투데이] 부친 그늘 털고 미래 모빌리티 총력전 펴는 정의선
- 신한은행, 배달앱 ‘땡겨요’ 베타 서비스 오픈… 지역 순차적 확대
- [시승기] 르노삼성 QM6 LPe…유일무이한 LPG 스포츠유틸리티
- 쌍용차, 전기차 기업 BYD와 전략적 제휴 추진
- '위험천만 달리면서 게임' 테슬라 58만대 안전 조사 착수
- 조현범號 불안한 출항… 한국앤컴퍼니, 미래 사업 속도낼까
- 정의선의 파부침주(破釜沈舟)...엔진개발 손떼고 전기차에 올인
- 두 달 만에 반토막 난 리비안…서학개미 3400억 물렸다
- '제2의 테슬라' 되겠다던 니콜라… 작년 말까지 전기차 2대 생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