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주해승 기자] 최근 전기차시장에서 진행되는 인수합병(M&A)들이 빠른 속도로 심사·승인된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회사 설립 등 전기차시장의 인수합병(M&A)을 신속 심사·승인했다고 26일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차세대 전기차에 필요한 전기차용 리튬이온전지를 생산·판매하기 위해 LG에너지솔루션과 50%씩을 출자해 인도네시아에 합작회사 설립을 추진했다. 이는 전기차 제조사와 핵심 부품인 리튬 이온 배터리 제조사 간 수직 결합에 해당한다. 공정위는 지난해 7월 이를 승인했다.
공정위는 해당 시장에 테슬라·GM·폭스바겐 등 강력한 경쟁사가 다수 존재하고 시장이 급성장함에 따라 경쟁사의 배터리 수요가 함께 증가하는 추세인 점을 고려해 수직 결합에 따른 시장 봉쇄 우려가 적다고 봤다.
지난 3일에는 유럽내 전기차용 배터리 분리막 공급망을 확충하기 위해 추진된 LG화학의 도레이 헝가리(Toray Hungary) 주식 50% 취득 건도 승인했다. 이는 전기차용 리튬이온전지 제조사와 핵심소재인 분리막 제조사 간 수직·수평결합이다.
공정위는 두 시장의 집중도가 높지 않다는 점에 주목했다. 또 다수의 경쟁사가 설비 투자를 늘리는 추세임을 고려해 경쟁 제한 우려가 적다고 판단했다.
공정위는 리튬이온전지를 구성하는 핵심소재인 양극재·음극재 제조사와 탄산리튬 등 원재료 공급사 간 기업결합도 마찬가지로 경쟁제한 우려가 적다고 보고 2019~2021년 잇따라 승인했다.
다수의 독일·벨기에·일본·중국의 양극재·음극재(리튬 이온 배터리 소재) 제조사는 원재료 공급사와 M&A를 추진했다.
지난해 10월에는 중국의 전기 상용차 제조업체인 BYD와 일본 도요타 계열 상용차 전문 제조업체 히노(Hino)가 전기 상용차 연구개발·제조 등을 목적으로 중국에 합작회사를 설립하는 건을 승인했다. 국내시장에 영향이 없다는 판단이다.
공정위는 "친환경·저탄소 정책 강화로 전기차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추세다. 원재료 공급시장부터 부품·완성차 제조시장까지 전 과정에서 M&A가 활발하다"며 "앞으로도 경쟁제한 우려가 없는 기업결합은 신속히 심사·승인해 세계적인 친환경 정책에 부응하고, 국내기업의 해외진출을 돕는 등 전기차시장 활성화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최호진 동아제약 대표, 새해 맞아 '부패방지 의지' 거듭 강조
- 이찬희 신임 삼성준법위원장 "삼성 지배구조 문제 반드시 해결"
- 롯데칠성, 편의점서 판매하는 칠성사이다·펩시콜라 가격 인상
- Sh수협은행, 신규 전산 시스템 도입… 3일간 서비스 중단
- KB국민은행, AI은행원 서비스 오픈
- IPO시장 뒤흔든 LG엔솔, 투자자 바라는 목표가는 없다
- [신상톡] IPO 이어 상장 후에도 '역대급' 기록 낼까
- 고속도로 달리는 전기·수소차… 충전은 어디서 하지?
- 해외서 '질주하는' 현대차, 10개월간 E-GMP 전기차 10만대 판매
- 배터리 동맹은 미끼?… GM·포드, 한국기업에 "기술 공유하라"
- 1회 충전에 500㎞? 추울땐 273㎞… 공정위, 테슬라 100억원 제재 착수
- 히노자동차 '배출가스·연비 조작'… 해당 차량 생산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