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물적분할제도 검토 시사 
소액투자자 보호문제 vs 기업 확장 

KT가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16.6% 성장한 클라우드, IDC 사업부의 물적분할을 추진한다. 사진=서울와이어 DB
KT가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16.6% 성장한 클라우드, IDC 사업부의 물적분할을 추진한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KT가 인터넷데이터센터(IDC)와 클라우드사업의 물적분할을 추진한다. 물적분할 준비는 지난해 9월부터 추진됐으며 최근 물적분할 기준에 대한 제도 검토가 예정돼 자금 유치에 제동이 걸릴 가능성이 제기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KT가 상반기 중으로 클라우드와 IDC 사업부 분사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문은 B2B사업으로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후 비대면 문화가 자리잡으면서 성과가 나오기 시작했다.

해당 사업부는 지난해 매출이 타 사업부보다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일 KT가 발표한 4분기, 2021년도 실적에 따르면 해당 사업부 명칭은 ‘디지코 B2B’로 용산 IDC센터 본격 가동과 타사업자의 IDC를 설계·구축·운영을 해주는 DBO(Design·Build·Operate) 사업 호조로 전년 대비 매출이 16.6% 늘었다. 반면 미디어 사업은 6.1%, 유무선사업 2.4%, 초고속인터넷사업 2.2%씩 성장했다.

회사는 사업부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보고 물적 분할을 통해 자금을 끌어모아 사업 규모를 키우려 했다. 구현모 KT 대표와 윤경림 그룹 트랜스포메이션 부문장(사장) 등이 지난해부터 물적분할 준비를 해왔다. 윤 부문장은 사업군 별 자산배분, 그룹 전반에 걸친 구조개편 전략을 담당하는 인사로 알려졌다. 

이미 올해 조직개편에서 클라우드·IDC사업추진실이 신설됐으며 AI·DX사업부문 산하에 있던 클라우드·DX본부를 클라우드·IDC사업추진실로 승격시켰고, IT부문 산하 관련 조직을 한데 모았다.

KT가 내부적으로 준비를 마쳤으나 외부 상황이 변수가 된다. 최근 기업들이 물적분할을 활용한 ‘쪼개기 상장’이 소액주주 피해로 이어지자 정부가 관련 제도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표했다.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은 9일 “소액 투자자에 대한 보호 문제는 자본시장법뿐만 아니라 상법에도 게재될 수 있어 금감원도 제도 개선을 검토하고 있다”며 “상법도 같이 검토해야 한다면 이를 관할하고 있는 부처와도 협의해야 하고, 금융위와 함께 소액투자자 보호 문제에 대해서 현재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업계는 정부의 규제가 강화되면 기업공개(IPO)와 물적분할 순기능이 약화될 것을 우려한다. 업계 관계자는 “신사업이라도 잠재력을 인정받으면 분할로 자금을 유치할 수 있었다”며 “성장부문 가치 인정을 받을 사다리를 무작정 걷어차기 보다 보완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