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공급사, '식용유 수급 상황 점검회의'

서울시내 대형마트에서 소비자가 식용유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시내 대형마트에서 소비자가 식용유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정부가 최근 인도네시아의 팜유 수출 중단으로 불거진 식용유 대란 우려에 대해 국내 식용유 공급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8일 오전 한국식품산업협회 회의실에서 권재한 식품산업정책실장 주재로 식용유 수급상황 점검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는 CJ제일제당, 롯데푸드, 사조대림, 농심, 오뚜기 등 주요 식용유 공급사 5개 업체와 식품산업협회 관계자가 참석해 식용유시장 안정화 방안을 논의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국내 식용유 연간 소요량은 대두유 60만t, 팜유 20만t 등 약 114만t 수준이다. 이 중 대두유 20만t, 옥수수유 4만t 등 24만t은 국내에서 생산하고 나머지 90만t은 주로 수입 후 정제 과정을 거쳐 공급한다.

회의에 참석한 국내 공급사들에 따르면 운송 중인 물량까지 포함해 국내에서 사용 가능한 재고량은 2~4개월 분량이다.

업소용·가정용으로 사용량이 가장 많은 대두유의 경우 미국·아르헨티나 등 주요 수출국으로부터 차질 없이 연간 약 40만t이 도입되고 있고, 국내 생산(연간 약 20만t)을 위한 원재료인 대두 도입도 원활해 수급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또 팜유의 경우 최근 인도네시아 수출제한에도 불구하고 국내 식품업계는 말레이시아산을 사용하기 때문에 수급에 차질이 없다고 밝혔다. 5~6월에도 평균 수준 사용량인 3만3000t(연간 약 20만 t 수입)을 도입할 예정이고 하반기 이후 물량도 계약된 대로 정상적으로 들여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가정용 치킨 가맹점 등에 주요 사용되는 카놀라유, 올리브유 등도 차질 없이 수입되고 있으며 해바라기씨유의 경우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에는 스페인, 아르헨티나 등 대체 공급선을 확보 중이라고 밝혔다.

공급사 관계자들은 “국내 식용유 공급에 문제가 없는 만큼 소비자의 식용유 구입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며 “현재 시점에서 식용유 공급가격 인상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이들은 또 최근 유통대리점에 공급되는 업소용 캔식용유(18ℓ), 가정용 대용량(1.8ℓ) 주문량이 최근 크게 늘어난 것과 관련해서는 “식용유 가격 상승을 우려한 가수요가 일부 유통망에서 발생한 데 기인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농식품부는 식용유의 국제가격 상승에 따른 업계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식용유 수입 관련 품목의 할당관세 등 지원 방안을 발굴·추진할 계획이다. 또 유통 과정에 교란 행위가 나타날 가능성에 대비해 각 기업 차원에서 발주 상황 등을 적극적으로 점검하도록 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