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트렌드 맞춰 '친환경'중심 사업포트폴리오 다변화
수소·전기차배터리시장 겨냥, '10조원' 규모 투자 계획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롯데케미칼이 기존 석유화학 중심의 사업구조를 벗는다. 친환경사업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해 2030년까지 매출 50조원을 달성하기로 했다.
김교현 롯데그룹 화학군 총괄부회장 겸 롯데케미칼 대표은 19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주요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2030 비전·성장전략’을 발표했다. 수소에너지·배터리소재 등 ‘그린사업’으로 무장한 기업으로 재탄생한다는 목표다.
김 부회장은 “비전 달성을 위한 성장 전략으로 석화사업, 고부가 스페셜티사업 확대 추진과 더불어 수소에너지 등 그린사업으로 포트폴리오를 개편할 것”이라며 “에너지 효율 개선과 탄소포집기술(CCU), 신재생에너지 도입 등 투자를 통해 탄소감축성장을 이뤄내겠다”고 말했다.
회사는 고부가가치 사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아 탄소중립 실현도 가속할 방침이다. 이에 선도적인 기술로 풍요롭고 푸른 세상을 향해 나간다는 의미가 담긴 새로운 기업 비전 슬로건 ‘에브리 스텝 포 그린’(Every Step for GREEN)도 공개했다.
또한 중장기 성장을 위한 대규모 투자 계획을 내놨다. 우선 6조원을 투자해 청정수소 유통과 활용을 위한 생산체제를 구축할 방침이다. 또한 국내 수요 증가에 맞춰 해외 청정 암모니아 도입을 추진한다.
롯데케미칼은 글로벌 수소시장 규모가 2030년 국내 580만톤, 글로벌 9800만톤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료전지와 암모니아 혼소 발전용으로는 약 350만톤의 수요가 형성될 것으로 내다봤다.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 수소에너지사업단장은 이와 관련 “발전용 수요 60만톤을 해외에서 청정수소로 생산해 저장과 운송 측면에서 경제성을 지닌 암모니아로 변환 후 국내에 도입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배터리 소재사업에는 4조원을 투입한다. 리튬이온 배터리 4대 소재(양극재·음극재·분리막·전해액) 솔루션 분야 매출액을 4조원으로 늘리고 차세대 배터리 분야 매출액 역시 1조원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
미국 시장 진출 계획도 언급했다. 이영준 롯데케미칼 첨단소재사업 대표 전지소재사업단장은 “인수합병(M&A), 합작사 설립, 롯데그룹 계열사 간 협업 등 다양한 방법으로 속도감 있게 사업 기반을 확대해 미국 배터리시장을 공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롯데케미칼은 배터리 소재사업 투자금 중 60%가량을 미국 내 배터리사업에 집중한다. 현지 배터리시장이 급성장함에 따라 배터리 제조공장에 안정적인 소재 공급을 위한 목적이다. 차세대 배터리사업 관련 연구·개발과 유망업체 발굴, 지분투자 등에 나설 예정이다.
아울러 바이오 플라스틱사업 규모는 100만톤 이상으로 확대하고 리사이클(재활용)분야 매출은 2조원 규모로 늘린다는 구상이다. 회사는 사업구조 재편을 통해 2030년 전제 매출의 60%를 그린사업이 차지할 것으로 봤다.
김 부회장은 “탄소중립 트렌드와 시장 내 역학관계 변화 등으로 화학사에 근본적인 변화가 요구된다”며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으로 미래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친환경 가치를 실현하고 글로벌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 신동빈 장남 롯데케미칼 일본 지사 상무 데뷔… 경영수업 첫 단추
- 롯데케미칼, 이영준 대표 사내이사 재선임
- 롯데케미칼, 지난해 영업이익 '330%' 급증
- 롯데케미칼, 친환경 소재 강화… 대산석유화확단지에 '6020억원' 투자
- 롯데케미칼, 인도네시아 내 초대형 석유화학단지 조성 '속도'
- [CEO투데이] '글로벌 롯데' 선봉장, 김교현 롯데케미칼 부회장
- 신동빈의 '뉴롯데' 본격화… 롯데그룹, 신사업에 5년간 37조원 투자
- 롯데, '2022 롯데어워즈'… 위기극복과 도전정신 발휘 조직에 포상
- 롯데글로벌로지스, 재생에너지 사용 본격화… "ESG 경영 강화"
- 롯데바이오로직스 공식 출범… 초대 대표이사에 이원직
- 롯데케미칼, 해외 배터리 소재시장 공략 나서
- 롯데그룹 화학군, '암모니아 광분해 기술' 실증… 미·일 기업과 역할분담
- [산업 이슈 픽] '친환경' 이정표 세운 석화업계, 다음 단계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