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롯데정밀화학·시지지·스미모토 상사, 공동개발사업 협약

(왼쪽부터) 트레버 베스트 미국 스타트업 시지지 대표, 황민재 롯데케미칼 연구소장, 김용석 롯데정밀화학 대표, 시니치 하세가와 스미토모 상사 EIIA 총괄 책임자가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에서 지난 24일 진행된 암모니아 광분해 기술 공동사업개발협약(JDA) 체결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롯데케미칼 제공
(왼쪽부터) 트레버 베스트 미국 스타트업 시지지 대표, 황민재 롯데케미칼 연구소장, 김용석 롯데정밀화학 대표, 시니치 하세가와 스미토모 상사 EIIA 총괄 책임자가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에서 지난 24일 진행된 암모니아 광분해 기술 공동사업개발협약(JDA) 체결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롯데케미칼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롯데그룹 화학부문 계열사인 롯데케미칼, 롯데정밀화학이 미국의 시지지(Syzygy)와 일본의 스미토모(Sumitomo) 상사 그룹과 세계 최초로 암모니아 광분해 기술의 공동 실증에 나설 계획이다.

롯데케미칼, 롯데정밀화학, 시지지, 스미토모 상사 그룹 등 4개 사는 지난 24일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에서 암모니아 광분해 기술 공동사업개발협약(JDA:Joint Development Agreement)을 체결했다.

이들은 세계 최초로 암모니아 광분해 기술의 공동 실증을 진행할 예정이다. 암모니아 광분해 기술은 분해의 에너지원으로 빛이 활용된다. 전기로 작동하기 때문에 설비의 가동과 중지에 드는 시간이 줄어든다.

또한 수소의 중소규모 생산에 이점과 연소 공정에서 온실가스 배출이 없다는 장점을 지녔다. 이에 연간 수천 톤(t)의 수소를 간헐적으로 사용하는 수소(혼소) 발전소나 수백 톤의 수소가 사용되는 수소충전소에서 해당 기술을 활용할 경우 경제적인 공급체계를 갖출 수 있다. 

4개 사는 이와 관련 가스터빈 발전에 필요한 수소 혼소 또는 전소 공급, 청정 수소 생산, 수소연료전지·수소충전소에 공급할 수 있는 고순도 수소 생산 등의 기술 실증을 진행하기로 했다. 

시지지는 광촉매 반응기의 설계·제작 및 이를 이용한 합성·분해 기술을 보유한 미국 스타트업으로 광분해 반응기와 광촉매 제작을 담당한다. 롯데케미칼은 실증을 위한 생산 설비 시스템의 설계 및 설비를 맡았다.

롯데정밀화학은 암모니아의 공급과 생산 설비 운전을, 스미토모 상사 그룹은 반응기와 광촉매의 운송을 담당한다. 롯데그룹은 이번 협력으로 수소·암모니아사업 포트폴리오를 완성해 국내 관련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할 방침이다. 

아울러 그룹 화학군은 대규모 수소가 지속적으로 쓰이는 수요처에 암모니아 열분해 기술을 기반으로 한 청정 수소를 공급하고, 중소규모 수요처의 경우 암모니아 광분해 기술을 이용해 고객의 니즈를 충족한다는 구상이다.

황진구 롯데케미칼 대표는 “청정 수소·암모니아를 통해 수소경제 활성화와 탄소중립에 기여할 것”이라며 “암모니아 광분해 기술 실증으로 기술 장점을 살려 환경과 고객 니즈에 맞는 수소를 빠르고 다양하게 공급하는 솔루션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김용석 롯데정밀화학 대표는 “회사는 동북아 암모니아 유통 1위 인프라와 노하우를 바탕으로 청정 수소·암모니아 관련 기술개발과 상용화에 힘쓸 것”이라며 “이번 실증을 통해 수소 에너지 전환을 위한 핵심기술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