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간 복구작업, 안전관리 강화에 만전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앞줄 오른쪽에서 두번째)이 지난 12일 포항제철소를 방문해 배수와 진흙제거 작업이 진행 중인 전기강판공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포스코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포스코 포항제철소의 고로 3기와 일부 제강공장 정상 가동돼 철강반제품 생산이 시작됐다. 

포스코는 지난 10일 3고로를 시작으로 12일 4고로와 2고로가 순차적으로 가동에 돌입해 포항제철소 모든 고로가 정상가동 체제에 돌입했다고 13일 밝혔다. 앞서 사 측은 고로에서 생산된 쇳물을 제강공정에서 처리하기 위해 제강·연주설비 복구에 집중했다. 

제강공장의 경우 전로 총 7기 가운데 4기, 연주 8기 중 4기가 이날 재가동됐다. 포항제철소 인근 냉천 범람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압연라인 복구작업은 한창이다. 배수 작업은 80%가량 이뤄졌다. 

포스코는 우선 가동이 필요한 1열연공장과 3후판공장은 배수 작업을 마치고 전원을 투입했다. 다만 압연라인은 지하 시설물 복구가 마무리돼야 정확한 피해규모 추산, 복구와 가동 계획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당장 회사는 국내 철강수급 안정화, 고객사 피해 최소화를 위한 비상출하대응반을 가동했다. 보유 중인 재고의 신속한 출하를 통해 고객사 수급안정화에 주력할 방침이다. 광양제철소도 최대 생산체제로 전환돼 고객사 긴급재 수요에 대응할 계획이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12일에도 포항제철소 현장을 찾아 침수의 원인으로 꼽히는 냉천 범람 지역을 둘러봤다. 또한 배수와 진흙제거 작업이 진행 중인 압연라인을 점검하는 등 현장 직원들을 격려하고 복구 활동에도 참여했다. 

최 회장은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이다. 규정된 절차에 철저히 입각해 복구작업에 임해 달라”며 “냉천 범람으로 인한 침수와 복구과정에서 제철소를 지키고 살리기 위해 보여준 직원들의 헌신적인 노력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포스코는 장기간 복구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안전 경각심이 약화하는 등 잠재 위험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판단에 작업 단위별 책임자를 선정했다. 설비 재가동으로 전기 감전, 가스 누출 등 중대 위험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는 등 안전관리 강화에 힘쓰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