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제철소 누적 손실액… 현재까지 2조400억원대
정부 민관 합동 조사단, 포스코 '과실' 여부 살필 듯
사측 "강력한 방재 대책 수립" 경영진 책임론 반박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오른쪽 첫 번째)이 지난 17일 침수 피해를 입은 포항제철소 압연지역(후판공장) 지하에서 직원들과 토사 제거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포스코 제공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오른쪽 첫 번째)이 지난 17일 침수 피해를 입은 포항제철소 압연지역(후판공장) 지하에서 직원들과 토사 제거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포스코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정부가 태풍 ‘힌남노’로 포스코 포항제철소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자 민관 합동 조사단을 구성했다.

태풍 대비에 미흡한 점이 있었는지 잘잘못을 따져보겠다면서 경영진 문책론까지 거론되는 상황이다.

19일 포스코에 따르면 포항제철소는 태풍 피해로 현재까지 약 2조400억원 규모의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추산됐다. 앞서 고로 3기는 모두 정상화됐고, 제강·연주 공장도 복구를 마쳤다. 다만 냉천 범람에 피해가 유독 컸던 압연공장 복구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앞서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이와 관련 “태풍 힌남노가 충분히 예보된 상황에서 큰 피해가 발생한 이유에 대해 중점적으로 따져보겠다”고 밝혔다. 조사단까지 꾸린 만큼 피해 원인을 면밀히 들여다보겠다는 입장이다.

조사 과정에서 태풍 예방에 미흡했던 부분이 발견될 경우 경영진 문책론까지  제기됐다. 포스코는 정권 교체기 때마다 총수가 바뀐 흑역사가 있다. 실제 박태준 초대회장부터 4대 김만제, 5대 유상부 회장을 포함한 6명의 회장이 정권 교체를 전후해 교체됐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의 경우 지난 문재인 정부 당시 임명돼 임기는 오는 2024년까지다. 하지만 남은 임기를 무사히 마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조사 결과에 따라 정부의 칼끝이 최 회장에게 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포스코는 지난 15일부터 18일까지 연달아 보도자료를 내면서 인재가 아닌 천재지변으로 인한 피해라는 점을 부각했다. 사측은 압연라인 피해가 유독 컸던 이유에 대해서는 “냉천의 범람 때문”이라고 강조하는 등 적극적인 여론전에 나선 모양새다. 

또한 태풍 상륙 당시 급박했던 상황을 설명하면서 “새벽에 갑작스럽게 냉천이 범람하면서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며 “통상적인 태풍 대비책과 다른 강력한 방재 대책을 수립했고, 전 공정 가동중단이라는 특단의 조처로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고 했다. 

아울러 회사는 3개월 내 압연 라인을 비롯한 포항제철소의 모든 공정을 정상 가동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현재 압연공장 배수 작업은 막바지 단계로 진흙과 뻘 제거가 한창이다. 

포스코는 “압연지역 지하 시설물의 진흙과 뻘 제거 작업에 가능한 모든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 그룹사, 협력업체 임직원들도 완정 정상화 전까지 복구 총력전에 나설 방침이다.

최 회장도 지난 17일 포항제철소 압연공장 지하시설물 침수 피해 현장을 찾아 복구에 힘을 보탰다. 그는 현장에서 “천재지변으로 큰 피해를 입었지만, 이럴 때일수록 포스코의 저력을 보여줘야 한다”고 직원들을 격려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