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부총리 "식품업계, 인상 최소화해야"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추석 연휴 이후 라면·김치·과자 등 가공식품 가격이 줄줄이 오르자 정부가 가공식품업계를 향한 경고에 나섰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민생물가 점검 회의에서 “최근 일각의 가격 인상 움직임은 민생 부담을 더욱 가중시키고 물가 안정 기조의 안착을 저해할 수 있다”며 “소관 부처를 중심으로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추 부총리는 예의주시 대상으로 식품업체를 직접 거론했다. 그는 “농림축산식품부를 중심으로 식품물가 점검반을 통해 동향을 일일 모니터링하고 업계와 가격안정을 위한 협의도 적극적으로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추 부총리가 이렇게 식품업계를 직접 저격하며 우려를 표명한 이유는 추석 연휴 이후 국내 주요 식품업체들이 연이어 제품 가격을 큰 폭으로 올렸기 때문이다.
농심은 지난 15일 라면 25개 품목의 출고 가격을 평균 11.3% 인상했다. 팔도 역시 다음 달 1일부터 라면 12개 품목의 가격을 평균 9.8% 올린다. 오뚜기는 다음 달 10일부터 라면 평균 가격을 11% 인상한다. 이외에도 포장김치, 과자 등의 가격도 오름세다.
추 부총리는 이같은 식품업체들의 가격 인상에 대해 “많은 경제주체가 물가상승 부담을 감내하고 있다”며 “가공식품업계에서도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인상 요인을 최소화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부당한 가격 인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현안 분야별로 담합 등 불공정 행위 여부를 소관부처와 공정거래위원회가 합동 점검하겠다”고 강조했다.
- 추경호 "15억원 초과 주택 대출금지 해제 검토 안해"
- 원/환율, 1370원 돌파… 금융위기 후 13년 5개월만
- [힌남노 광란] 추석 대목 민생경제 '쑥대밭'…과일·채소값 폭등 가능성
- 강달러에 외환보유액 줄었지만… 정부 "대외건전성 안정적"
- 심상정 “론스타 판결문 공개하라… 책임자 구상권 청구해야”
- 일시적 2주택·고령자 종부세 부담 완화된다… 1주택 특별공제는 불발
- 문재인 색깔 지우기? 지역화폐 지원 예산 삭감 소식에, 야당 반발
- 신규확진 1만9407명으로 10주만 '최저'…위중증 508명·사망 39명
- 중국서 코로나 환자 싣은 버스 전복, 27명 사망·20명 부상
- 장진호·황재윤 DGIST교수, '초음파 조직 투명화 기술' 선봬
- SKT, 보이는 AI스피커 '누구 네모 Ⅱ' 출시
- 정부, 10월 전기·가스요금 추가 인상 저울질… 고삐 풀리나?
- 이커머스에 칼빼든 공정위, SSG닷컴 현장조사 착수
- "가격 올리지마" 정부 경고에 식품업계 "다 오르는데" 불만
- "샤넬 싸게 판다더니"… '먹튀' 명품쇼핑몰 사크라스트라다 폐쇄 조치
- "식용유, 밀가루값 왜 이래?"… 가공식품 물가 13년만에 최고
- 대상, 미국 이어 유럽에도 '종가김치' 대못 박는다
- "원자재 부담" 오뚜기, 3분기 영업익 442억… 전년비 16.5% 감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