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가공식품 인상 '압박'
"밥상물가 상승 주범 억울"

서울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정부가 물가안정을 위해 식품업계에 가격 인상을 자제할 것을 요구하면서 식품기업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이들은 원부자재 가격 상승 등 인상 요인이 여전하다며 난감하다는 입장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7일 CJ제일제당, 오뚜기, 대상, 삼양식품, 동서식품, 롯데칠성음료 등 6개사 식품 제조 업체 임원진과 물가 안정 간담회를 가격 인상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회재정부장관 역시 지난 19일 민생물가 점검회의에서 “최근 식품업계의 잇따른 가격인상에 대해서는 농식품부를 중심으로 식품물가 점검반을 통해 동향을 일일 모니터링하고 업계와 가격안정을 위한 협의도 적극 진행하겠다”며 “가공식품업계에서도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인상요인을 최소화해 주시길 바란다”고 압박했다.

식품업체들은 난감한 모양새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치솟는 환율과 물류비, 인건비 등 비용 부담이 커지고 있다”며 “원가 부담을 감내하기 어려워 가격을 최소한으로 인상했는데도 눈치를 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가격 인상 자제 요청이 부담스러운 것은 사실”이라며 “가격 인상에 대해 주저하게 되고 신경이 쓰일 수 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일각에서는 가공식품 인상이 물가상승의 주범인 것처럼 찍혀 식품업계에선 볼멘소리가 나온다. 식품업계 한 관계자는 “가공식품뿐 아니라 생활비 전반에 걸쳐 가격이 오르는 상황”이라며 “정부가 가격 인상을 자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는 다음 달 열리는 국정감사에 식품기업 등의 임원을 증인으로 부른다. 이번 국감에서는 식품 물가와 관련한 다양한 질의와 정부의 외식물가 안정 정책이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집중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농식품부 국감에는 임형찬 CJ제일제당 부사장, 박민규 오리온농협 대표, 박상규 농심미분 대표, 황성만 오뚜기 대표, 황종현 SPC삼립 대표 등 주요 식품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이 포함됐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