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2월 이후 상승세
햄버거 28%↑ 피자 24%↑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외식 물가가 2년5개월 동안 매달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 물가 지수는 117.15(2020년=100)로 한 달 전보다 0.7% 상승했다. 외식 물가는 전월 대비 기준 2020년 12월부터 29개월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외식 물가 상승률은 전년 같은달 기준 지난해 9월 9.0%까지 오른 뒤 지난달 7.6%로 둔화했으나 외식 물가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담은 지속되고 있다. 29개월간 누적된 외식 물가의 상승률은 16.8%였다.
품목별로 보면 햄버거(27.8%), 피자(24.3%), 김밥(23.2%), 갈비탕(22.5%), 라면(21.2%) 등의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자장면(21.0%), 생선회(20.4%), 떡볶이(19.9%) 등도 그 뒤를 이었다.
그간 누적된 원유·곡물 등의 원가 가격 상승분과 인건비 인상 등이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서 외식 물가의 오름세는 매달 이어지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조치가 완화되면서 식료품 수요가 외식 수요로 옮겨간 것도 외식 물가 상승에 영향을 줬다.
외식 등 서비스 가격이 계속 오르면서 근원물가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석유류 가격 하락 등으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세는 둔화하고 있지만 한번 가격이 오르면 잘 내리지 않는 서비스 가격의 경직성 탓에 근원물가의 상승률은 쉽사리 내려오지 않고 있다.
지난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1년 전보다 4.0% 올라 전월 상승률(4.0%)과 같았다. 9개월째 4% 이상을 이어가고 있다.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지난해 11월 4.3%까지 오른 뒤 5개월간 0.3%포인트 하락하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0%에서 3.7%로 1.3%포인트 하락했다.
- [유통정보통] "맛집 줄서지 마세요" 도시락에 힘주는 편의점
- "가격 올리지마" 정부 경고에 식품업계 "다 오르는데" 불만
- "사먹기 겁나네"… 외식물가 30년만에 최고치, 정점은 '아직'
- "식탁서 먹을 게 없다"… 소시지·햄 등 가공식품까지 줄인상
- 다시 닫힌 소비자 지갑… 고물가·고금리에 유통업 체감경기 '악화'
- 윤석열-기시다, 내일 한일 정상회담···12년 만의 셔틀외교
- 檢 “권도형 한국 송환해야…국내 금융범죄 사상 최장기형 예상”
- 더워지는데 독감 유행...어린이 환자, 유행 기준 8.8배
- '억' 소리 나는 유튜버 소득… 상위 1% 연수입 7억 번다
- 이재용, 글로벌 제약사 연쇄회동… "반도체 성공, 바이오로 이어가자"
- BTS 10주년 기념우표 나온다… 오는 22일부터 사전판매
- '방한' 기시다, 첫 일정으로 현충원 참배… 일본 총리로는 12년만
- "부모님 댁 오래된 김치냉장고 살피세요" 가정집 화재 수백건
- 외식물가 또 급등… '한 끼 1만원' 김치찌개·자장면·칼국수·김밥정도만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