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신고자 2년 새 12배 증가
유튜버·BJ 평균 수입 2500만원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유튜버 등 1인 미디어 창작자로 수입을 신고한 사업자가 2년 새 12배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수입 상위 1%에 해당하는 창작자들의 연평균 수입은 7억원이 넘었다.
7일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1인 미디어 창작자(유튜버 등) 수입금액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1년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로 수입을 신고한 인원은 3만4219명이었다. 2019년(2776명)과 비교하면 12.3배로 늘었다.
1인 미디어 창작자는 유튜버·인터넷 방송 진행자(BJ) 등 인터넷과 모바일 기반의 미디어 환경에서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공유해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자를 말한다.
2021년 기준 수입을 신고한 1인 미디어 창작자 수는 변호사(6292명), 세무사(9611명), 건축사(8122명), 법무사(6783명) 등보다 많았다.
이들 중 수입 상위 1%에 해당하는 342명의 연간 수입은 1인당 평균 7억1300만원이었다. 이는 2019년 상위 1%(27명)의 연평균 수입(6억7100만원)보다 6.3% 늘어난 액수다. 상위 1%의 총수입은 2439억원으로 1인 미디어 창작자 전체 수입(8589억원)의 28%를 차지했다.
수입 하위 50%(1만7110명)의 연평균 수입은 40만원으로 2019년(100만원)보다 줄어 상위 1%와 하위 50%의 격차가 확대됐다. 수입을 신고한 유튜버 등의 수가 늘어나 평균 수입이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2021년 기준 1인 미디어 창작자의 연간 평균 수입은 2500만원으로 2019년(3200만원)보다 700만원 줄었다.
양 의원은 이들이 화면에 계좌번호를 띄워 후원받거나 뒷광고를 명목으로 돈을 받는 ‘과세 사각지대’를 이용하는 점을 고려하면 이들의 수입 금액이 더 많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세청은 지난 2월 탈세가 의심되는 유튜버 등에 대해 세무조사를 벌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양 의원은 “매년 탈세를 하는 유튜버들이 다수 적발되고 있다”며 “과세당국은 탈세 혐의자들을 엄중하게 검증해 공정 과세를 구현하고 세입 예산 확보에 기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 무섭게 치솟는 외식물가… 2년5개월간 쉼없이 올라
- 오늘 한일 정상회담...기시다 국립현충원 참배, 만찬은 숯불고기
- 윤석열-기시다, 내일 한일 정상회담···12년 만의 셔틀외교
- 檢 “권도형 한국 송환해야…국내 금융범죄 사상 최장기형 예상”
- 괴물 수비수 김민재, 나폴리서 생애 첫 빅리그 우승컵
- '한·일 생활체육교류' 성료…9월 日 스포츠 마스터즈 교류도
- '보자기 작가' 김시현 개인전 개최… 26일까지 온유갤러리
- 제52회 전국소년체육대회, 참가 신청만 '1만8천여명' 경쟁 치열
- 대한체육회, 어린이날 '진천 국대선수촌·태릉 스케이트장' 개방
- 이재용, 글로벌 제약사 연쇄회동… "반도체 성공, 바이오로 이어가자"
- BTS 10주년 기념우표 나온다… 오는 22일부터 사전판매
- '방한' 기시다, 첫 일정으로 현충원 참배… 일본 총리로는 12년만
- "부모님 댁 오래된 김치냉장고 살피세요" 가정집 화재 수백건
- WHO, 코로나19 비상사태 해제… 국내도 위기단계 하향
- 대한민국 '상위1% 부자' 순자산은 얼마나 될까?
- 나라빚 쌓이는데 체납세금 100조… 20억 로또당첨자도 세금 안 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