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절감·역대급 적자 해소 기대돼
재생에너지, 기후위기 외면 지적도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한국전력공사(한전)가 올해 한시적으로 액화천연가스(LNG)발전 일부를 단가가 싼 석탄발전으로 대체해 1조6000억원의 연료비 부담을 줄이겠다는 계획을 정부에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5일 한전은 최근 재정건전화 계획을 기획재정부에 제출했다. 계획에 따르면 석탄발전상한제를 완화해 연료비 부담을 줄이겠다는 내용이 핵심이다. 석탄발전상한제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석탄 발전량에 상한선을 두는 제도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도 한전 산하 5개 발전 공기업(남동·중부·서부·남부·동서발전)의 석탄발전 감축을 위해 지난해 정부 경영평가에 관련 지표를 설정하고 시행에 들어갔다. 다만 올해 재정 건전성 확보를 위해 상한제를 완화하기로 정부와 협의했다.
한전은 지난 4일 장혜영 정의당 의원실에 관련 자료를 냈다. 현재 LNG로 발전하는 전력 약 12.8테라와트시(TWh)를 석탄발전으로 대체했을 경우 약 1조5990억원의 연료비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
세부적으로 LNG(169.88원/kWh)와 석탄(95.98원/kWh)의 단가 차이에 따른 직접적인 비용 절감 효과는 9458억원에 달한다. 또한 연료비가 가장 비싼 LNG 발전량을 줄이면서 전력도매가격(SMP)의 전반적인 인하 효과도 생겨 8010억원 규모의 비용 절감이 예상된다.
적자 해소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한전은 올해 상반기(1∼6월)만 창사 이래 최대 규모인 14조3000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바 있다. 지난해 영업적자(5조9000억원)를 상반기에만 2배 이상 웃돌았다.
다만 장 의원은 “적자를 이유로 석탄·화력발전 확대를 공식화하고 재생에너지 투자를 미루는 것은 기후위기를 경시하는 단기주의적 발상”이라고 지적하면서 “화석연료 의존을 줄이고 재생에너지 비중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공적 투자가 리스크를 줄이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 "문재인 정부 탈원전, '전기요금 인상' 알면서도 강행했다"
- 고환율·고금리·고물가 속 전기료 인상…철강·반도체·정유업계 '직격탄'
- 10월부터 4인가구 전기요금 2270원↑… 한전 적자에 인상 결행
- 이창양 장관 "에너지 가격기능 회복 필요"..산업용 전기료 대폭인상 예고
- 한전·가스공사 울리는 국제 LNG 가격… '재무부담' 가중
- 1억 넘는 외제차 몰며 임대주택 거주하는 '가짜 서민' 수두룩
- NC문화재단, 창립 10주년 컨퍼런스 개최… 창의성과 열정 되묻는다
- 시지바이오, 골대체재 '노보시스' 북미 본격 진출
- 행안부, 여가부 폐지 준비… 복지부 산하 본부로
- [산업 이슈 픽] 국정감사 앞둔 한전, 여야 집중타깃 되나?
- 정승일 한전 사장 "연료비 상승 등으로 전력판매사 적자는 숙명"
- 한전·국정원, 사이버테러 대응 합동훈련 '일렉콘' 실시
- 한전 적자, 눈덩이처럼 불어 연간 '40조'… 전기료 폭탄되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