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주자 기준 초과 고가 외제차 등 보유한 곳 264가구
"기준가액 초과 재계약 유예 불가 등 제도 개선 필요"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서민의 주거복지 일환으로 마련된 공공임대주택에서 고가의 외제차 등 입주 기준가액을 넘는 고가차량을 보유한 사례가 상당수 발견됐다.
이에 정부의 허술한 사후관리로 사회적 약자들이 임대주택을 배정받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장철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주택관리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공공임대주택 기준가액 초과재산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입주자 기준을 벗어나는 고가의 외제차 등을 보유한 곳은 264가구다. 심지어 이들 중 임대료를 체납한 사례도 있었다.
공공임대의 입주자 선정 기준은 ▲무주택 세대 ▲총자산 2억4200만원(영구) ▲3억2500만원(국민) ▲자동차가액 3557만원 이하 등을 충족해야 한다. 하지만 LH 자료에 따르면 공공임대주택 817개 단지 60만9379가구 중 차량을 2대 이상 보유한 곳은 7만1233가구(11.7%)였고 입주기준을 초과한 고가차량 보유 세대는 264가구(0.04%)로 집계됐다.
주택 유형별로 보면 영구임대 26가구, 국민임대 233가구, 행복주택 5가구였다. 고가차량은 제네시스 EQ900 등의 고가의 국산차를 비롯해 외제차를 보유한 곳도 143가구에 달했다. 차종으로는 BMW와 벤츠가 각각 48대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 밖에 포르쉐, 페라리, 마세라티, 테슬라, 아우디 등도 있었다.
특히 서울시 송파구 인근 위례신도시의 국민임대주택단지에서는 외제차 등 고가차량 7대가 발견됐다. 용인의 한 국민임대주택에서는 1억원이 넘는 고가의 벤츠 차량을 보유한 세대도 있었는데 이 세대는 임대료조차 연체했다.
현행 공공주택 업무처리지침에 따라 영구, 국민, 행복주택 재계약 시 기준가액을 초과하는 차량을 소유한 것이 확인될 경우 영구, 국민 임대는 1회에 한 해 재계약의 유예가 가능하다.
장철민 의원은 “공공임대주택은 서민의 주거복지 일환으로 마련됐으나 고가 차량을 보유한 입주자들이 발견됐다”며 “사회적 약자의 주거 안정을 위한다는 목표에 부합하지 않고 일부 편법적인 입주나 도덕적 지탄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입주 기준가액을 초과한 부분에 대한 재계약 유예 불가 등 일부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연료비 급등에 놀란 한전… '석탄 발전'으로 뒷걸음
- [메타센서] 민생은 뒷전… 여·야, 국감서 또 '으르렁'
- 중대재해법에 놀란 삼성전자 '보행중 스마트폰 사용 금지' 후폭풍
- 대구, 분양가보다 1억원 싼 매물 등장… 미분양 7000만원 할인까지
- 집값 추락에 '독박위기' 느낀 수요자들, 잇따라 사전청약 외면
- 시지바이오, 골대체재 '노보시스' 북미 본격 진출
- 행안부, 여가부 폐지 준비… 복지부 산하 본부로
- 접종력 있는 어린이, 임산부 '독감 무료접종' 시작
- 이복현 “태양광 대출, 국민 관심 커… 이번 주 점검 결과 공개”
- [CEO투데이] 원가공개로 '투명경영' 역사 쓰는 김헌동 SH공사 사장
- 경실련 "LH 장기공공주택 44%는 가짜… 문재인 정부 때 급증"
- 브레이크 없는 집값 추락… 서울 아파트 가격 19주 연속 하락
- LH, 공공주택 용어 우리말 순화작업 추진
- LH, 행복주택 11개 단지 3570호 청약 접수 진행
- 2억짜리 벤츠 G바겐, 12억에 낙찰… BTS 정국 차라는 소문이 '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