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차세대 스마트십과 스마트함정에 적용할 사이버보안 기술 국산화에 나섰다.
대우조선해양은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이 개최한 ‘2022 스마트모빌리티 세미나’를 통해 2024년 선박 사이버보안 의무화 규정에 대한 국산화 개발 계획과 선박 사이버보안 규정 함정 적용방안 제언을 발표했다고 24일 밝혔다.
회사가 발표한 내용은 ▲육·해상 모빌리티분야 사이버보안 국제 규정 ▲해양 사이버보안 사고 동향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와 선박 사이버보안 대응 ▲사이버보안 규정 함정 적용 방안 등이다.
앞서 대우조선해양은 2019년 영국선급 로이드로부터 스마트십 솔루션 최상위등급 AL3 인증획득을 시작으로 2020년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과 함정사이버보안 연구 협약으로 선박과 함점에 대한 사이버보안 관련 기술을 축적해왔다.
최근 스마트함정, 자율운항선박 등이 개발됨에 따라 사이버보안이 최첨단 선박 건조에 있어 중요한 이슈로 떠올랐다. 업계는 2024년 1월 이후 계약되는 모든 신조 선박에 대해 국제선급연합회인 IACS의 사이버보안 규정이 의무 적용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회사는 지난해 해양 사이버보안 강소기업으로 꼽히는 디에스랩컴퍼니㈜와 해양수산부의 해양산업 수요기술 연구개발 과제 등도 수행했다. 또한 선박 사이버보안 규정(IACS E26, E27) 대응을 위해 디에스랩컴퍼니㈜와 국산화에 나설 방침이다.
정우성 대우조선해양 특수선본부장 전무는 “방산과 민수분야에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해양 사이버보안 새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이라며 “일반 상선뿐 아니라 대한민국 해군과 협력을 통해 첨단함정의 사이버 생존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정부·5대 조선사, 제2도약에 '원팀'으로 나서
- 대우조선해양, 미 CB&I사와 '대형액화수소운반선' 기술개발 협력
- 대우조선해양, 그리스 최대선사와 '각별한 인연' 눈길
- 대우조선해양, 전동화 'LBTS' 구축… 기술 경쟁력 강화 가속화
- 대우조선·한국선급, 국내 조선산업 맞춤형 'ESG평가 지표' 개발
- 엔씨문화재단 창립 10주년 돌아보기… NCC2022 성료
- 대우조선, '고망간강 LNG 연료탱크' 실 선박 탑재 성공
- 대우조선해양, '3509억원' 규모 LNG운반선 추가 수주
- 대우조선해양, 자율운항 시대 첫 발… 테스터 선박 '단비' 해상시험 성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