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하청 상생구조 마련 등 실천노력 다짐

(앞줄 왼쪽부터) 이상균 현대중공업 대표이사, 가삼현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장, 권영호 국민의힘 의원,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 서일준 국민의힘 의원, 정진택 삼성중공업 대표이사, (뒷줄 왼쪽부터) 김형관 현대삼호중공업 대표이사, 우제혁 대우조선해양 조선소장, 조홍선 공정거래위원회 사무처장, 신현대 현대미포조선 대표이사 등이 19일 상생협력 공동선언을 체결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앞줄 왼쪽부터) 이상균 현대중공업 대표이사, 가삼현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장, 권영호 국민의힘 의원,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 서일준 국민의힘 의원, 정진택 삼성중공업 대표이사, (뒷줄 왼쪽부터) 김형관 현대삼호중공업 대표이사, 우제혁 대우조선해양 조선소장, 조홍선 공정거래위원회 사무처장, 신현대 현대미포조선 대표이사 등이 19일 상생협력 공동선언을 체결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정부와 국내 5대 대형 조선사가 하나로 뭉쳤다. 이들은 2027년까지 조선업계 인력 문제를 해결하고 하청업체와 상생 협력 방안을 함께 모색할 계획이다.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조선 5사는 19일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공정거래위원회와 이 같은 내용이 중심이 된 ‘조선업 재도약을 위한 상생협력 공동선언’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은 조선업 생산직 부족 규모가 올해 4분기 6625명에서 2023년 1분기 7453명, 2분기 1만711명으로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이란 우려에 따른 것이다. 우선 조선 5사는 협력사들과 2023년 초까지 구체적 상생협력 방안이 담긴 ‘원·하청 상생협력 실천협약’을 맺기로 했다.

또한 선언문을 바탕으로 기술인력 확보를 비롯한 숙련공 양성과 근로조건 개선, 복지 향상 등을 실천할 방침이다. 협력사의 전문성과 경쟁력 제고, 고용안정과 근로조건 향상을 위한 방안도 마련할 예정이다.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는 실천협약 주체들이 논의를 이어갈 수 있도록 상생협의체 운영을 지원하고, 정부도 조선업계 생산·기술 분야의 종합적 인력 확충을 통해 인력난 해소에 앞장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정식 고용부 장관은 협약식에서 “정부의 일방적 규제나 지원만으로 조선업 이중구조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며 “조선업계가 중심이 돼 다양한 사회적 대화를 통해 상생협력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정부도 상생협력 방안에 상응하는 각종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