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원직급 통합, 주요기업 ‘차세대 인재’ 발탁 기조 뚜렷
수평화 조직문화 구축, 30~40대 신규임원 발탁 늘어나

지난해 삼성전자 CJ 등이 임원 직급을 기존 대비 줄였고, 올해는 한화가 임원 호칭을 담당·사업부장 등 수행하는 직책에 맞게 변경했다. 사진=각 사 제공
지난해 삼성전자 CJ 등이 임원 직급을 기존 대비 줄였고, 올해는 한화가 임원 호칭을 담당·사업부장 등 수행하는 직책에 맞게 변경했다. 사진=각 사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국내 주요기업의 임원 직급이 점차 사라지는 추세다. 성과주의를 기초로 능력을 지닌 젊은 인재를 임원으로 발탁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다.

지난해 삼성전자는 부사장과 전무 직급을 모두 ‘부사장’으로, CJ그룹은 임원 직급을 ‘경영리더’도 통합했다. 올해는 한화그룹이 임원 호칭을 상무, 전무가 아닌 담당·사업부장 등 수행하는 직책에 맞춰 변경했다.

25일 재계에 따르면 한화그룹은 올해 정기 임원인사를 마쳤다. 눈길을 끄는 것은 임원 직급이 바뀐 점이다. 한화는 글로벌 비즈니스 확장에 따라 최근 국내외 기업들이 도입 중인 ‘포지션 중심의 임원인사 체계’를 새롭게 적용했다. 

수평적 조직문화 구축과 차세대 인재 발탁을 위해서다. 새롭게 적용된 인사체계에서 임원들은 포지션의 가치와 적합도에 따라 승진, 이동이 결정된다. 보상 수준도 성과에 따라 달라진다.

앞서 삼성전자 계열사들도 부사장과 전무급 직책을 부사장으로 통합하면서 승급 단계를 줄였다. CJ그룹도 기존 6단계로 나눠진 임원 직급을 경영리더로 압축했다. 인재풀을 넓히는 동시에 성과주의 기조 강화를 위한 목적이다. 

삼성전자는 이와 함께 사내망을 통해 CL1 직급 직원을 대상으로 내년부터 시행될 ‘인사제도 혁신안’을 발표했다. 고졸·초대졸 사원들에게도 승진 기회의 문을 활짝 연 셈이다. 

.혁신안에는 CL1 직급의 상위평가 배분율이 기존보다 5% 늘었고, 업무평가 최고 등급인 S등급에 대한 인센티브 상향, 조기 승격제도 등의 내용이 담겼다. CL1 직원들이 승진을 위해 치러야 했던 시험은 폐지돼 업무평가, 어학 심사로 대체된다. 

실제 임원 직급을 축소·통합한 기업에서는 차세대 인재 발탁이 활발히 이뤄졌다. 한화그룹 관계자는 올해 정기인사와 관련 “전략, 사업 실행 기능 강화에 맞춰 분야별 전문성과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인력을 발탁했다”고 설명했다.

한화 인사의 경우 최고경영자(CEO)로 발탁된 양기원 ㈜한화 글로벌부문 대표이사와 정상철 한화솔루션 Q에너지 대표이사 2명은 모두 1970년대생이다. 한화솔루션 임원인사에서도 1980년대생 임원이 2명 배출됐다. 

지난 24일 이뤄진 CJ그룹 정기인사에서도 총 44명의 신규 임원이 탄생했다. 지난해 53명에 이은 역대 두 번째 큰 규모다. 30대 가운데 5명이 신규 임원으로 발탁됐다. CJ올리브영의 수장이 된 이선정 대표는 1977년생이다. 

이 대표는 CJ그룹 내 최연소이자 최초의 여성 최고경영자(CEO)라는 타이틀을 얻었다. 또한 그룹의 올해 신규 임원들 평균 나이는 45.5세로 지난해 대비 0.1세 어려지는 등 젊은 인재 발탁 기조가 이어졌다.

재계 관계자는 “불확실한 경영환경에 젊은 인재를 신규 임원으로 끌어올려 조직에 역동성과 긴장감을 불어넣겠다는 의도”라며 “성과주의 기조를 바탕으로 하면서 조직 구성원들에겐 확실한 동기부여가 될 수 있다. 이는 자연스러운 세대교체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