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작발전소 '여수그린파워' 구축 맞손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LG화학이 공장 가동에 필요한 에너지 열원을 바이오 연료 전환을 위해 국내 대표 친환경 에너지기업 GS EPS와 손잡았다.
LG화학은 20일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노국래 석유화학사업본부장, 정찬수 GS EPS 대표이사 등 양사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폐목재로 산업용 증기·전기를 생산하는 바이오매스 발전소 설립을 위한 본계약을 체결했다.
올해 6월 양사가 맺은 주요 조건 합의서(HOA)가 본계약 체결로 이어졌다. LG화학과 GS EPS는 이와 관련 2026년 상반기 가동을 목표로 여수 LG화학 화치공장에 총 3200억원을 투자해 바이오매스 발전소 ‘여수그린파워’를 설립할 예정이다.
양사 합작으로 설립되는 바이오매스 발전소는 국내 가정과 산업현장에서 소각, 매립되는 폐목재를 우드칩(Woodchip)형태로 만들어 원료로 사용한다. 폐목재는 산림 자원의 에너지화가 아니면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국내와 유럽연합(EU)에서는 폐목제를 지속가능한 바이오매스(Sustainable Biomass) 원료로 인정하고 있다.
여수그린파워에서 이를 원료로 사용하면, 여수 LG화학 화치공장에 필요한 증기(열원)와 전기를 생산 과정에서 연간 40만톤 규모의 탄소배출 저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재생에너지 직접전력거래(PPA: Power Purchase Agreement)를 통해 LG화학에 직접 판매된다. GS EPS는 국내 최초 민간 발전사로 친환경 에너지와 발전분야에서 축적된 사업 역량과 운영 노하우, 국내 우드칩 공급망 네트워크를 보유 중이다.
노국래 LG화학 석유화학사업본부장은 이날 “바이오매스를 통한 탄소 감축은 리사이클과 바이오소재 등 주요 이니셔티브와 함께 2030 탄소중립을 위한 핵심”이라며 “친환경 혁신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양사는 지속 가능한 연료를 활용, 탄소중립 달성을 앞당겨 순환경제 구축에 기여한다는 구상이다. GS EPS 정찬수 대표이사는 “친환경 에너지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넷제로를 선도하는 국내 대표 기업인 LG화학과 지속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LG화학, '식물성 바이오 원료' 활용 고기능성 ABS 출시
- LG화학·고려아연,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 美 IRA법 공동 대응
- LG화학, 성과주의 내세운 정기인사…차동석 CFO, 3년 만에 사장으로
- LG화학, 통큰 투자… 미 테네시주에 4兆 배터리 양극재 공장 설립
- LG화학, 미 최대규모 양극재공장 신설… "IRA·글로벌 고객사 수요 대응"
- LG화학, 북미 '이차전지 재활용시장' 겨냥… 전문기업 재영택에 지분투자
- LG화학, 강추위 속 취약계층에 따뜻한 '나눔실천'
- LG화학, 친환경 소재 혁신… "완성차 외장부품 시장도 넘본다"
- 바다 생태계 파괴 주범 '해양폐기물' 감축… "LG화학에 맡겨라"
- 신학철 LG화학 부회장, 다보스포럼 산업협의체 의장 선출… 국내기업인 최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