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인력난 심화… 글로벌 전체 선박 수주량 뒤처져
국내 조선사 올해 연간 약 1만4000명 인력부족 전망
외국인 수혈 주력한 정부… 장기적 대책 마련은 과제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우리나라가 지난해 고부가가치·친환경 선박시장에서 점유율 세계 1위를 달성했다. 전체 선박 수주시장에서는 중국에 2년 연속 1위 자리를 내줬다. 수주 호황 속 물량 소화 능력의 한계가 여실히 드러난 셈이다.
6일 산업통상자원부와 조선업계에 따르면 국내 조선사들은 지난해 대형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컨테이너선, 초대형 원유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전 세계 발주량 2079만CGT(총화물톤수) 가운데 58%를 쓸어 담았다.
선박 수로 따지면 전 세계 발주사가 270척 중 149척을 한국 조선사에 맡겼다. 실제 해양산업 관련 탄소중립 기조가 강화됨에 따라 월등한 기술력을 보유한 한국조선해양·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 등에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가 몰렸다.
이에 조선 3사 모두 2년 연속 수주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 실제 HD그룹의 조선부문 중간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은 지난해 11월 기준 수주목표액인 179억달러를 훌쩍 넘긴 239억9000만달러 규모의 선박 수주를 기록했으며, 목표액의 38%를 초과했다.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도 각각 104억달러, 94억달러 규모의 선박을 수주했다. 삼성중공업의 경우 목표치를 7% 넘겼고, 대우조선해양은 16% 초과 달성했다. 한국은 이처럼 고부가가치·친환경 선박부문을 휩쓸었지만, 1위 탈환에 실패했다.
중국은 지난해 전 세계 발주량의 48.9%인 2054만CGT를 수주하며 세계 시장 1위를 유지했다. 한국은 중국에 이은 2위로 전 세계 발주량의 1559만CGT(37%)를 수주했다. 현장 인력난 심화가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다.
각사마다 인력난 고충을 호소하는 상황으로 물량 소화 능력이 현저히 떨어져, 추가 발주물량대부분이 중국으로 넘어간 것으로 분석된다. 업계는 빠른 납기를 원하는 선사들의 경우 탄소중립 대응에 중국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조선사 입장에서도 2~3년 치 일감을 가득 채운 상태로 무리하게 추가 수주에 나설 필요가 없었다. 다만 업계가는 글로벌시장에서 1위 탈환이 앞으로 더욱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아질 것을 가장 우려한다.
여기에 중국은 LNG선 시장에서도 점유율을 점차 늘려가는 모습이다. 2021년 7.4%에 불과했던 중국의 LNG 운반선 수주 점유율은 지난해 30%까지 뛰었다.
올해도 전 세계적인 탈탄소 흐름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LNG 운반선을 찾는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중국과 수주물량 격차 확대가 불가피하다.
특히 조선산업의 뚜렷한 수주실적 개선세에도 올해 말까지 생산인력은 약 1만4000명이 부족할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기업들 수주실적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부도 이를 인지하고 있으며, 외국인력 도입에 대한 국내 절차를 최대한 앞당길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와 관련 신속한 인력 수혈을 위해 국내 행정절차 소요 기간을 4개월에서 1개월로 대폭 단축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조선업 밀집 지역에 데스크를 설치하고 관계부처와 협의를 통해 인력 등 애로사항을 해소할 계획”이라며 “기업별 외국인력 도입 허용 비율도 기존 20%에서 30%로 한시적(2년간) 확대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또 국내 대학에서 조선분야 학과를 졸업하는 유학생에게 비자(E-7-3)를 발급할 때 실무능력검증은 면제될 전망이다. 정부의 선제적 조치로 현장 인력난은 당장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되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인력 수급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외국인 인력 투입으로 급한 불은 끌 수 있다. 하지만 이들은 단기 체류자가 대부분”이라며 “조선산업 발전이란 큰 틀에서 숙련공 육성과 청년층 유입을 위한 지원책도 강화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 누리호 3차 발사 전 갈라지는 항우연… 내홍에 전임자들 등판
- [CES 2023] 정기선 HD현대 사장 "바다의 잠재력 활용하자"
- 권오갑 HD현대 회장 "새로운 50년 기술혁신·디지털전환 가속"
- 대우조선해양, 해군과 전투용 '무인 잠수정' 개발 착수
- STX중공업 인수전, 한화도 가세?… 한국조선해양과 경쟁 전망
- 기업은행, 2022년 ‘IBK개인고객 大賞’ 시상
- 캠코, 1703억원 규모 압류재산 공매
- '인력난' 조선업, 경쟁력 악화 우려… 정부 "공정 자동화·디지털 전환 적극 지원"
- 한국조선해양, LNG운반선 분야 경쟁력… 새해 첫 수주로 이어져
- 한국조선해양, 일주일 새 초대형급 선박 7척 수주
- 조선업계, 조용한 질주… '고부가 선종' 앞세워 수주몰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