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영진 산업 1치관, 조선기업 인력현안 간담회 참석
애로사항 수렴 뒤 '인력난 해소' 추가 지원방안 내놔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이 9일 경남 거제 대우조선해양에서 열린 조선기업 인력 현안 간담회에 참석해 "임금구조 개선 등의 대책을 관계부처와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사진=대우조선해양 제공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이 9일 경남 거제 대우조선해양에서 열린 조선기업 인력 현안 간담회에 참석해 "임금구조 개선 등의 대책을 관계부처와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사진=대우조선해양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조선업계 인력난 해소에 정부가 발 벗고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앞으로 2~3년 치 일감을 확보해 둔 국내 조선사들이 현장 인력난 문제로 어려움을 겪자 임금구조 개선과 조선산업 디지털 혁신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9일 경남 거제에 위치한 대우조선해양에서 열린 조선업 인력 현안 간담회에 참석해 업계 애로사항을 수렴했다. 간담회 참석 기업들은 “차질 없는 생산을 위해 신속한 인력 투입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기업들의 수주물량은 지난 2년간 급격히 늘었고, 필요한 생산인력도 증가하는 실정이다.

다만 어려운 작업환경과 저임금 구조로 현장 인력난은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특히 조선해양플랜트산업협회에 따르면 올해부터 부족한 생산인력은 연간 약 1만4000명에 달할 전망이다. 

앞서 정부는 인력난 해소를 위해 지난 6일 외국인 비자발급 국내 행정절차를 1개월로 축소했으며, 국내 체류 중인 유학생 및 단순 노무인력(E-9) 유입을 위한 제도 개선에 나섰다. 외국인 도입 비율 역시 20에서 30%로 확대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이날 국내 신규인력 유입 촉진을 위한 추가 지원 방안을 내놨다. 구직자를 대상으로 맞춤형 생산교육과 채용지원금 지급 등 현장에 필요한 생산인력 적기 공급을 위한 대책이 포함됐다. 

또한 인공지능(AI), 로봇 등을 활용한 공정 자동화 시스템 구축, 디지털화 전환에도 관련 부처와 협력으로 속도를 낼 계획이다.

장 차관은 “인력난 해결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작업환경과 임금구조 등을 통해 조선소가 일하고 싶은 직장이 되는 것”이라며 “저가 수주 방지, 원·하청 간 상생협력을 바탕으로 한 임금구조 개선 등의 대책을 관계부처와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내 조선산업이 인력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을 이어갈 것”이라며 “조선업계도 자발적으로 임금구조 개편을 비롯한 생산 스마트화 등 산업 체질 개선에 노력해달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