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 현장 '안전사고 예방시스템' 전면 도입

대우조선해양이 모바일 기반 ‘고위험(S급) 작업 안전사고 예방시스템'을 올해 전 현장에 도입해 현장 내 중대재해 방지에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사진=대우조선해양 제공
대우조선해양이 모바일 기반 ‘고위험(S급) 작업 안전사고 예방시스템'을 올해 전 현장에 도입해 현장 내 중대재해 방지에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사진=대우조선해양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재해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 높은 작업 등 현장 내 안전사고 원천 차단을 위해 선제적 예방활동을 펼친다.

대우조선해양은 언제 어디서든 고위험 작업을 손쉽게 등록하고 조회·관리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 ‘고위험(S급) 작업 안전사고 예방시스템’을 올해부터 적용할 방침이라고 13일 밝혔다.

회사는 지난해 4월부터 생산본부 산하 현장부서의 의견 수렴 과정과 테스크포스팀(TFT) 구성 등을 통해 아르곤가스 용접, 고소 발판상부작업, 화물창 공사용 설비 설치 등 고위험 작업의 기준을 정립했다. 

이어 지난해 11월 최종 소프트웨어 개발을 완료해 이후 약 한 달간 시범 운용을 마치고 본격적으로 전 현장에 적용 중이다. 예방시스템 개발에는 고위험 작업 기준 등을 명확히 해 현장 안전점검 활동 등을 보다 내실 있게 하자는 취지가 담겼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각종 작업의 안전관리 강화가 요구되는 시점”이라며 “시스템 활용 시 선제적 안전사고 예방 활동이 가능하게 되는 등 중대 사고를 낮추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실제 기존 고위험 작업 항목의 경우 PC에서만 조회할 수 있었다. 엑셀로 작성돼 메일 및 메신저 등으로만 공유 가능해 사실상 현장에서는 고위험 작업 등의 실시간 확인이 어려웠다.

특히 점검사항 등은 제한된 인원에게만 공유돼 점검이 필요한 부분이 누락 되는 경우도 잦았다. 

올해부터는 사전에 모바일 앱 또는 PC에 작업계획과 점검 결과를 등록할 수 있다. 이에 실시간으로 위험작업 현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는 이를 활용해 더욱 철저한 안전점검을 진행할 수 있다. 

안전작업허가 제도에 등록된 작업 중엔 인공지능(AI)으로 위험등급과 강도 등이 자동으로 분류된다. 고위험 작업 리스트를 만들어 모바일 앱에서 전송해주는 기능도 갖춰 담당자가 취합해서 이를 별도로 공지해야 하는 불편함도 사라졌다.

해당 시스템 개발을 주관한 대우조선해양 IIF실천부(Incident and Injury Free) 관계자는 “어디서 위험작업이 있는지 확인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지만, 소프트웨어 개발로 사전점검을 쉽게 할 수 있는 등 위험요소 제거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PC와 연동되는 모바일 기반의 고위험 작업 관리는 아직 동종업계에서 구현하지 못한 최초의 적용사례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앞으로 고위험 작업을 데이터베이스(DB)로 구축해 재해 위험성 높은 작업 중심으로 집중 안전점검 관리체계를 마련할 방침이다. 

아울러 생산현장에 모바일 앱과 연동된 키오스크를 설치해 고위험 작업이 필요한 경우 바로 등록할 수 있도록 유도해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가는 등 안전사고 원천 차단에 지속 노력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