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적이고 비의도적인 교차오염 추정
식약처 "생산라인 달라 조사 계획 없어"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농심이 대만에 수출한 신라면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돼 제품이 전량 폐기됐다. 농심 측은 국내와 다른 현지의 엄격한 기준 때문에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해명했다.
지난 18일 자유시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대만 위생복리부 식품약물관리서(식약서·TFDA)는 전날 외국에서 수입한 식품 통관검사에서 불합격한 제품 10건을 공개했다.
이중 ‘신라면 블랙 두부김치 사발’에 대한 잔류농약 검사에서 발암물질 ‘에틸렌옥사이드(EO)’ 0.075㎎/kg이 스프에서 검출됐다. 대만의 허용 기준인 0.055ppm보다 0.02ppm 높은 수치다.
농심 측은 하부 원료인 농산물에서 환경 유래나 일시적인 비의도적 교차 오염으로 이번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봤다. 원료 단계에서 일시적인 교차 오염이 발생했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이번에 검출된 물질은 EO가 아니라 2-클로로에탄올(CE)로 이는 발암물질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농심은 “대만 식약서가 EO라고 발표한 것은 2-CE 검출량을 EO로 환산해 EO의 수치로 발표한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만 식약서도 우리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도 2-CE는 환경에서 유래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EO는 살균제(농약)이지만 2CE는 EO의 대사물질로서 환경에서도 존재하는 물질이다.
또 해당 제품의 국내 판매용 제품 원료와 대만 수출용 제품 원료가 다르며 국내 제품 분석 결과 2-CE가 검출되지 않아 국내 제품은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식약처 역시 별다른 조사를 진행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문제가 된 제품과 국내에서 판매하는 제품의 생산라인이 다르고 검출된 물질이 대만 측 주장과 달리 발암물질이 아니라는 이유에서다.
농심 관계자는 “현재도 농산물 원료에 대해 계약재배를 통해 재배에서 완제품까지 원료 관리를 하고 있고 6단계 검증과정을 준수하고 있다”며 “이번 사안을 계기로 정밀 분석기기를 보강하여 분석능력을 대폭 늘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 대만 수출용 신라면서 유해성분 검출… 농심 "국내 제품 문제없어"
- [신년사] 신동원 농심 회장 "내실 다지고 세계 넘버원으로 가자"
- [유통정보통] "라면도 건강하게~" 건면 키우는 식품업계
- 농심, 3배 더 매운 '신라면 제페토 큰사발' 한정판 출시
- 건기식 영역 넓히는 농심… '라이필 식물성 알티지 오메가3' 선봬
- 농심, 오만에 첫 스마트팜 수출… "사내 스타트업 성과"
- 농심, 꿀꽈배기 핵심재료 '아카시아꿀' 양봉농가 지원
- 농심 부산공장서 20대 작업자 팔 끼임사고… "생명엔 지장없어"
- 갤S23 기본모델 100만원+@… '최고중의 최고' 사실일까
- 우리카드, 설 맞이 ‘행복 꾸러미’ 100상자 전달 행사 진행
- 경찰, 민주‧한국노총 건설노조 사무실 8곳 압수수색
- 우리은행, 설 연휴 이동점포 신권교환 행사 진행
- 금융위, 토큰 증권 제도권 편입… 외국인 투자자 등록제 폐지
- KB금융, ‘2023 글로벌 지속가능 100대 기업’ 선정
- BNK금융 차기 대표이사 회장 후보에 빈대인 전 행장
- BNK금융지주 차기 회장 후보에 빈대인 전 부산은행장 확정
- 대만·태국 발암물질 논란된 '신라면의 반전'… 식품안전연 "문제없다"
- "저소득·소외계층 돕는다" 농심, 2억원 상당 식품 기부
- '고급 라면 원조' 신라면블랙의 반전… '생산중단'서 '세계 최고'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