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부터 미 전역서 총격사건 잇달아… 무고한 시민 희생
사망자 수는 이미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배가량 증가해
바이든 대통령 "공격용 무기 금지법 복원이 비극 막는 길"

미국 캘리포니아주 몬터레이 파크시 댄스 교습소에서 발생한 총기난사로 숨진 희생자들을 시민들이 추모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미국 캘리포니아주 몬터레이 파크시 댄스 교습소에서 발생한 총기난사로 숨진 희생자들을 시민들이 추모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연초부터 미국 전역에서 잇따른 총기난사 사건이 발생하면서 희생자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27건 발생·35명 사망·90명 부상)보다 2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 들어 지난 23일(현지시간)까지 미국에서 38건의 총기 난사(사상자 4명 이상) 사건이 발생했으며, 총 69명이 사망하고 160명이 다쳤다.

26일 비영리 단체 총기폭력아카이브(GVA)에 따르면 미 전역에 걸쳐 총기난사로 숨진 희생자들 수가 급증하고 있다. 무고한 시민들이 희생됐고, 총격으로 희생된 인원은 이미 지난해 2배에 달하는 등 올해 들어 총격 사건이 끊이질 않고 있다.

특히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만 3일 동안 총격 사건 3건이 연쇄적으로 발생해 모두 19명이 희생됐다. 

로스앤젤레스(LA)타임스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몬터레이 파크의 댄스 교습소 ‘스타 댄스 스튜디오’에서는 지난 21일(현지시간) 중국계 이민자가 난사한 총에 맞아 10명이(남성 5명·여성 5명) 현장에서 숨졌다.

범인은 해당 교습소의 단골이었던 중국계 이민자 72세 남성 휴 캔 트랜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었지만, 장소를 옮겨 2차 범행까지 시도했던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다.

현지 시간으로 이틀 뒤인 23일에도 샌프란시스코 남쪽 도시 해프문베이에서는 총기난사로 7명의 희생자가 나왔다. 범행은 버섯농장과 3㎞ 정도 떨어진 트럭 운송시설에서 일어났다.

이 사건 역시 범인은 중국계로 추정되는 67세 남성 자오춘리로 출동한 수사당국에 범행 현장 인근에서 체포됐다. 

하루가 채 지나기도 전 같은 날 오후엔 오클랜드의 한 주유소에서 벌어진 총격전으로 1명이 숨지고 7명이 부상을 당했다. 아이오와주 디모인의 한 교육센터에서도 이날 총격 사건이 벌어졌고, 학생 2명이 희생됐다.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본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위터를 통해 “총기난사 희생자들과 병원에서 만나던 중 옆에서 또 다른 사고 소식을 보고 받았다”며 “비극 위에 비극”이라고 참담한 심경을 밝혔다.

워싱턴포스트(WP)는 연이은 총기난사 사건에 대해 “총기규제가 사건을 막을 수는 없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지적했다.

CNN 역시 총기 규제 관련 강력한 제도를 도입한 영국 호주 뉴질랜드의 사례를 언급하며 “미국의 총기 문화는 글로벌 아웃라이어(특이 사례)다. 현재로서 치명적 폭력의 악순환은 계속될 운명”이라고 했다.

미 정부는 대응 마련에 골몰하는 모습이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대규모 총격 사건과 전국적 헤드라인을 장식하지 않는 일상적 총기 폭력 사건까지 미 전역의 지역사회는 비극에 이은 비극으로 타격을 입었다”는 성명을 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와 관련 1994년 10년간 한시적으로 적용됐던 공격용 무기 금지 법안을 이유로 들면서 이 기간 총기 난사 사건이 줄었고 2004년 법 만료 뒤 다시 3배로 급증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그는 상원과 하원에 공격용 무기 금지 법안의 조속한 처리를 촉구하고 나섰다. 공격용 무기 금지법은 앞서 바이든 대통령이 상원의원 시절 지지한 바 있다.

현재 대통령뿐 아니라 캘리포니아를 지역구로 둔 다이앤 파인스타인 의원을 비롯한 리처드 블루멘탈, 크리스 머피 등 민주당 상원의원들이 법안 통과에 힘을 싣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