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변동성·제품가격 하락 등 지난 4분기 ‘영업손실’
적자 전환에도 연간 순이익 2조, 올해 미래성장 가속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에쓰오일(S-OIL)이 국제 유가 강세 덕을 톡톡히 봤다. 실적을 발표한 이 회사는 지난해 사상 최대실적을 달성했다. 연간 순이익도 2조1068억원을 기록했지만, 지난 4분기 실적의 경우 유가 하락에 영향을 받아 적자 전환했다.
에쓰오일은 1일 연결기준 지난해 연간 매출 42조4460억원, 영업이익 3조4081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제품 판매단가 오름세로 매출은 전년 대비 54.6% 늘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59.2% 증가하는 등 연간 기준 최대실적을 거뒀다.
4분기는 다소 주춤했다. 매출액은 10조594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4.8% 줄었다. 영업이익은 재고 관련 손실과 일회성 요인 반영으로 적자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영업손실은 1575억원이다.
에쓰오일은 측은 실적 관련 “아시아 정제마진은 겨울철 난방 수요와 항공 수요 회복으로 견조한 수준을 유지했지만, 원유가격이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와 중국의 코로나 재확산과 맞물려 지난해 12월 연중 최저점까지 떨어졌다”고 밝혔다.
연말 유가 흐름으로 인한 판매가격이 하락한 요인이 적자 전환에 주된 요인으로 지목된다. 회사 관계자는 이와 관련 “영업이익 적자에도 원/달러 환율이 급변동에 대응한 일관성 있는 환위험 관리 정책의 운영으로 순이익은 2313억원 기록했다”고 말했다.
에쓰오일은 순이익을 미래 지속성장과 국내 에너지 전환 지원을 위해 추진 중인 9조원 규모의 석유화학 프로젝트인 ‘샤힌 프로젝트’와 주주들에 대한 배당 및 재무건전성 강화 재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회사는 올해 전망에 대해서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 성장 둔화 우려에도 정제설비 부족 현상이 지속돼 과거 사이클 대비 향상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며 “중국 내수와 글로벌 항공유 수요는 연중 정제마진 지탱 목 역할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에쓰오일 관계자는 “윤활기유 펀더멘탈은 계절적 수요 약세로 완화됐으나, 고품질 제품은 견고한 수준을 유지 중”이라며 “러시아산 정유제품 금수 조치, 중국 리오프닝으로 기대 등을 바탕으로 전년과 유사한 강세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석유 수요는 2024년까지 팬데믹 이전 수준의 평년을 웃도는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며 “다만 정제설비의 순증설이 현저히 감소해 공급 부족은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회사는 글로벌 유가 변동성과 질적 성장에 초점을 맞춰 올해 업계 선도 경쟁력을 갖춘다는 구상이다.
앞서 에쓰오일은 지난해 11월 석유화학사업 확장의 일환으로 추진하기로 한 샤힌프로젝트 최종 투자를 결정했으며, 현재 본격적인 설계·시공·조달(EPC)작업에 착수한 상태다.
- 알 카타니 에쓰오일 CEO "올해 각자가 전력 다해 새 역사 주역돼야"
- [중동붐 부활] 사우디·UAE 오일머니 75조원…침체 한국경제 일어서나
- 에쓰오일, 5년 연속 '대한민국 브랜드 명예의 전당' 주유소부문 1위
- [CES 2023] 류열 에쓰오일 사장, CES서 '에너지기업' 전환 노력 소개
- 에쓰오일 임직원, 15년째 '희귀질환' 아동들 치료비 지원에 앞장
- 에쓰오일, '에너지 빈곤층' 대상 난방비 ‘10억원’ 지원
- 알 카타니 에쓰오일 CEO "젊은 직원들은 미래 이끌 주역"… '소통경영' 눈길
- 전쟁중 러시아 식품시장서 팔도·오리온의 놀라운 돌풍
- [정유사 새 먹거리 ③] 속도 붙은 에쓰오일의 '친환경 전환' 비전
- 결국 다시 오를 수밖에 없는 '항공권 가격' 비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