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온, 지난해 러시아 법인 매출액 2098억원
팔도 도시락, 현지 라면시장 점유율 60% 달해
사업 인수·신공장 가동 등으로 고성장세 유지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대다수 기업이 러시아에서 철수하는 등 사업을 접고 있으나 일부기업은 당초 우려와 달리 견고한 실적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리온은 러시아시장에서 계속해서 성과를 내는 기업으로 꼽힌다. 오리온의 대표 제품인 ‘초코파이’가 현지에서 꾸준한 인기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리온은 러시아에서 가장 많은 12종의 초코파이를 생산·판매하고 있다. 또 각종 비스킷 제품도 러시아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리온에 따르면 지난해 러시아 법인 매출액은 79.4% 성장한 2098억원, 영업이익은 106.9% 성장한 348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6월부터 트베리 신공장을 본격적으로 가동하며 공급량을 늘리고 초코파이 품목 다변화와 비스킷 등 신규 카테고리 확장에 성공하며 2003년 법인 설립 이후 최초로 매출 2000억원을 돌파했다.

러시아에서 매출 규모가 가장 큰 국내 식품회사는 팔도다. 팔도의 ‘도시락’은 현지 용기면시장 1위로 점유율이 60%에 달한다. 팔도 도시락은 사각 용기를 사용해 휴대가 간편한 데다 마요네즈를 넣어 현지인들의 입맛에 맞게 현지화된 제품으로 러시아 ‘국민 라면’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팔도 러시아법인은 2021년 30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지난해 역시 성장세를 이어가며 최대 매출을 기록할 전망이다.
아울러 현재 러시아에서 2개 생산공장을 운영 중인 팔도는 현지 유통망 강화를 위해 지난해 10월 스페인 식품기업 GB푸드의 러시아사업 부문을 인수했다. GB푸드는 라면과 소스류 등을 제조, 판매하는 기업으로 지난해 러시아에서 36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들은 현지 채널 확장을 비롯해 늘어나는 수요에 맞춰 생산설비도 확충해 고성장세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 롯데케미칼, 작년 7000억대 영업손실 충격… 탈출구는?
- 사우디 에너지장관 "서방의 러 석유제재는 결국 에너지 부족 초래" 경고
- 푸틴식 경제성장...오일달러로 재정 확보, 무기산업 풀가동으로 고용창출
- 에쓰오일, 작년 연간 매출·영업이익 '사상최대'… 4분기는 주춤
- 식품업계, 정부 자제 요청에도 아랑곳 않고 '가격 인상'
- 농식품부, 또 식품업체 불러 '가격인상 최소화' 요청… 통할까
- [유통정보통] "달콤한 밸런타인데이 선물 준비하세요~"
- 오리온, 3분기 영업익 6.6%↑… "4분기도 건강한 성장 예고"
- 민주당 무임승차 연령 '65세→70세' 제동… "국고로 해결하라"
- 한화 "튀르키예 강진 피해복구에 써달라"… '70만달러' 지원
- 비상상황에 밥상싸움 하는 삼성전자 노조연대… 의견분열로 혼란
- 尹 “은행 고금리에 국민 고통 커… 금융위, 대책 마련하라”
- 홍준표 "곽상도 무죄?… 검사가 이러니 검수완박 말 나오지"
- [포토] 시민들 한숨 소리 가득… 서울시 4월 대중교통 가격인상 예고
- 해외서 잘나가는 오리온, 시총 5조원 돌파… 식품업 1위 굳히나
- "한·중·러 고른 성장" 오리온, 2분기 영업익 25.1% 증가
- 팔도, '뿌요소다 젤리' 선봬… "시장 내 경쟁력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