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식품기업에 '물가안정' 동참 주문
식품업계 "인상 불가피해, 비용절감 도와야"

서울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정부가 주요 식품제조회사들과 만나 가격 인상을 자제해 달라고 재차 요청했다. 식품업계와의 간담회는 지난달 9일 이후 한 달여 만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2일 서울 서초구 한국식품산업협회에서 식품제조업체 대상 간담회를 열고 “식품업계의 어려운 상황도 이해하지만 물가의 중요성을 고려해 가격 안정화에 최대한 협조해달라”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CJ제일제당, 대상, 오뚜기, 농심, 롯데제과, 동원 F&B, SPC, 남양유업, 오리온, 삼양, 해태제과, 팔도 등 12개 주요 식품제조업체 임원진이 참석했다.

농식품부는 “국제 곡물가격이 지난해 5~6월 최고점을 기록한 이후 하락세로 전환하고 환율도 1200원대로 안정화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상승세도 다소 둔화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가공식품은 최근까지 일부 제품에서 가격 인상이 이뤄지는 등 여전히 높은 물가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식품기업들을 만나 수차례 가격 인상을 최소화해달라고 요청했으나 이를 막지는 못했다. 영업이익률이 개선됐음에도 가격을 올리거나 한 해에 두 차례 인상한 기업도 있었다. 원부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원가 부담이 극심하다는 게 기업들이 내세우는 주된 이유다.

농식품부는 “식품업계의 지난해 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대체로 증가했고 영업이익률도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만큼 물가안정을 위한 업계의 협조가 그 어느 때보다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기업을 상대로 ‘물가안정’에 협조하라며 압박에 나서자 일각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원부자재 가격이 오르고 인건비와 물류비 상승이 누적돼 가격 인상 외에 마땅한 대안이 없다”며 “물가안정을 위해서는 기업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농식품부는 올해 주요 식품 원료에 대한 할당관세 연장 적용 등 식품업계의 비용부담 완화를 위한 정책을 설명했다.

이와 함께 올해 농식품 수출 100억달러 달성을 목표로 신규시장 개척과 마케팅, 현지화 등 식품기업의 해외진출을 확대하기 위한 정부 지원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강혜영 농식품부 푸드테크정책과장은 “고물가로 어려운 시기에 많은 경제주체가 물가상승 부담을 참고 견디는 상황”이라며 “식품 물가가 체감 물가다 보니 국민이 느끼는 가격 인상 부담은 여타 물가에 비해 커 최대한 가격 안정화에 협조해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