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인상 10%, 임금피크제 폐지, 정년 65세 보장 등 요구
한국노총 가이드라인 무시한 인상안, 반발로 무산 우려도
삼성 전자계열사 노조연대별도 출범, 내부 이해갈등 표출

삼성전자 내 노조연대가 과도한 임금협상안을 제시하면서 사측과 대립 중이다. 연대 내에서도 계열사별로 의견이 갈려 힘이 약해지는 모양새다. 사진=삼성전자 반도체 생산라인
삼성전자 내 노조연대가 과도한 임금협상안을 제시하면서 사측과 대립 중이다. 연대 내에서도 계열사별로 의견이 갈려 힘이 약해지는 모양새다. 사진=삼성전자 반도체 생산라인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삼성전자가 임금협상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올해는 글로벌 반도체 한파로 경영 위기까지 겪게 되면서 문제가 복잡해졌다. 삼성전자의 노조연대 내에서도 전자계열사들이 의견을 달리하면서 의견 통합이 쉽지 않다.

업계는 지난 10일 삼성그룹노동조합연대(삼성연대)의 2023년 임금인상·제도개선 10대 개선안 내용을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개선안은 ▲공통급 인상률 10% ▲임금피크제 폐지 ▲정년 65세 연장 등이 골자다. 오상훈 삼성연대 의장은 공통급 10% 인상의 경우 각종 경제여건을 고려한 수치라고 주장했다.

오 의장의 말과 달리 한국노총은 '임금인상 요구율'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최근 적정 임금인상 요구율은 6.8~8.5% 수준이었다. 업계에서도 과하다는 반발이 나오는 이유다. 

일각에서는 회사와 경제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주장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글로벌 주요기업들이 대규모 인원감축으로 경영효율화를 꾀하는 중인데 삼성전자도 이를 따라야 할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미국 빅테크기업 중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등은 대대적인 감원을 계획 중이다. 국내도 운영경비 절감과 투자 축소로 대응하고 있다.

또 모회사와 자회사의 성과급을 동일하게 지급하라는 요구도 의견이 갈린다. 자회사의 OPI가 모회사의 절반수준인 점을 놓고 이를 동일하게 둬야 한다는 주장이다. 

여기에 삼성전자의 다수노조도 문제가 되고 있다. 각 계열사노조들이 이익 대변에 집중하면서 의견이 분열될 수 있다는 우려다. 이달에는 삼성 전자계열사 노조 연대가 새로 출범하기도 했다. 

이곳은 삼성전자·삼성디스플레이·삼성SDI·삼성전자서비스·삼성전자판매 등 전자계열사 5곳의 9개 노조가 참여한 조직이다. 

기존 삼성 12개 계열사 노조로 구성된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 삼성그룹노동조합연대’에 이어 또 다른 노조 연대가 결성된 것이다.

업계에서는 노조 내에서도 계열사별로 입장이 갈리다보니 어쩔 수 없는 수순이라고 본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연대가 공동교섭을 요구하는 것과 반대로 계열사별 노조가 독자행동을 벌이는 상황이 이어질 것”이라며 “권리 쟁취를 위한 투쟁은 당연하지만 상황도 파악하면서 조율하는 모습을 보였으면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